친박-비박 커져가는 균열과 청와대의 경고, ‘무대’의 대응은?

사진제공: 새누리당
▲ 사진제공: 새누리당

지난 7.14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친박(親박근혜)좌장’ 서청원 후보를 꺾고 집권여당의 대표 자리에 오른 김무성 대표가 21일로 취임 100일째를 맞이했다.

전날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난 김 대표는 “낙제점은 면했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지난 100일을 자평했다. 이어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날마다 새로워짐)’의 심정으로 항상 새롭게 좋은 방향으로 변화시키겠다는 생각을 갖겠다”며 “사고의 규제 없이, 항상 넓은 사고로 상상력을 가지고 당을 변화시켜나가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면서 당 혁신 의지를 강조했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청와대에 할 말은 하겠다”며 ‘수평적인 당청관계’와 ‘보수혁신’, ‘당내 민주화’ 등을 내세운 김 대표의 100일은 일단 순항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취임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미니총선’이라고도 불렸던 7.30 재보선의 새누리당 압승을 이끌었고, 세월호 특별법 국면에서도 이완구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주고 자신은 한 발 물러나 결과적으로 여야협상타결에 일조했다. 

또한 ‘보수혁신’이라는 아젠다를 내걸고 ‘당직자 금주령’, ‘비행기 이코노미석 이용’,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포기’, ‘출판기념회 금지’ 등의 소소하지만 연속적인 혁신안들을 제시했다. 이는 당에 쇄신바람을 가져왔고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에 앞서 정치혁신이슈를 선점하게 했다. 

당청관계 재정립에서는 아쉽다는 평가와 선방했다는 평가가 함께 나오고 있다. 국가재정건전성 문제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대립각을 세우는 것도 사양하지 않았고 ‘군대 가혹행위’ 등의 이슈에도 한민구 국방부 장관을 국회로 호출해 질타하는 등 정부입장 변호에 급급했던 기존 여당과는 일부 결이 다른 모습도 보였지만, 세월호 특별법등을 둘러싼 갈등에서는 청와대 입장 대변에 급급했다는 평가다. 

이 밖에도 ‘핵심친박’ 이정현 의원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잠재적 대권라이벌인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당 보수혁신특별위원장으로 초빙하는 등 ‘통큰정치’를 보여준 점도 호평을 받았으며, 그러한 성과들을 기반으로 김 대표 스스로도 여권 내 대권주자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

수면위로 떠오른 당내 갈등, 경고 목소리를 낸 靑 

그렇지만 김 대표의 미래가 장밋빛으로만 채색된 것은 아니다. 김 대표가 추진하고 있는 ‘수평적 당청관계’와 ‘비주류를 배려하는 당내 탕평인사’는 친박주류와의 갈등요소를 내재하고 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그 갈등의 골은 깊어져만 가고 있다. 

또한 김 대표가 일생의 목표로 추진한다고 공언하는 ‘정당 민주화’는 당 공천제도를 건드리게 되는 이슈로 이는 필연적으로 친박 진영의 경계심도 함께 고조시키게 된다. 결국 이러한 문제들을 어떻게 극복해내느냐에 향후 김무성 체제의 앞날도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전당대회 직후 “이제부터 친이-친박은 없다”며 당의 화합을 강조하면서도 “그동안 당에서 소외받았던 인사들을 중심으로 탕평인사를 하겠다”고 선언했던 김 대표는 실제 사무총장을 비롯한 주요당직인선에서 비주류를 중용해 친박계의 반감을 샀다. 

이후 박근혜 대통령과 지난 19대 대선후보 당내 경선과정에서 날선 경쟁을 펼친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혁신위원장으로 영입하면서 친박계의 경계를 받았으며, 이어진 혁신위원 구성문제에서도 서청원 최고위원이 공개석상에서 “이런 식으로 하면 안 된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원외 당원협의회 당무감사도 ‘친박물갈이’의 사전정지작업으로 인식되면서 ‘친박중진’ 홍문종 의원이 “당을 처음 맡으셔서 잘 모르시는 것 같다”고 김무성 지도부에 직격탄을 날렸고 그와 연계된 조직강화특위(조강특위) 위원 6명의 인선과정과 내용 역시 당내 논란을 피하지 못했다. 

지난 16일 김 대표의 소위 ‘상하이발 개헌’ 발언은 갈등의 골을 더욱 깊게 한 상황이다. 일단 김 대표는 발언 하루 만에 “박 대통령에게 죄송하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홍문종 의원 등은 ‘대선 스케줄을 고려한 의도적 발언’으로 간주했다. 

특히 21일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익명으로 “당 대표 되는 분이 실수로 언급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낸 것은 의미심장하다. 그간 청와대는 당청간 힘겨루기나 주도권 다툼이 벌어지는 모양새로 비치는 것을 경계하며 당청문제에 가급적 침묵을 지켜왔기에 이번 발언은 김 대표에 대한 공개적인 경고로도 해석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