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박사학위 논문…2003∼2010년 노인 자살 동남쪽으로 확산

(연합뉴스) 옆 동네 노인들의 자살이 늘어나면 우리 동네 노인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노인 자살에 '전염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 기초생활보장수급자가 많은 지역일수록 노인 자살률이 높게 나타났고, 노인들이 여가시설 등에서 접촉이 많은 것이 꼭 자살 감소 효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11일 서울대에 따르면 이 대학 환경대학원 주유형씨는 2003∼2010년 노인 자살 분포도를 분석한 결과 일부 지역에서 자살이 많이 발생하면 해가 지나면서 주변 지역으로 자살이 퍼져 나가는 것이 확인됐다고 박사학위 논문에서 밝혔다.

이 기간 노인 자살자가 많은 지역이 수도권에서 경남 등 동남쪽으로 이동하며 확산하는 양상을 보였다는 것이다. 

2003년에는 노인 자살자 상당수가 수도권에 분포했다. 이외에 충남, 전북, 강원도 내부와 해안지역, 부산, 대구 등지에서 자살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2004년에는 충남, 전북, 경남지역 중 전년도에 자살자가 있었던 동네 주변으로 자살자 집단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자살자의 분포도가 더 촘촘해진 것이다.

2006년에는 경기 남부와 충북, 강원, 경북 등지에서 자살자가 증가했고, 2008년에는 전남 지역에서도 자살자 집단이 무리져 생성됐다. 

자살자 발생 지역이 이런 식으로 확산하면서 2010년 이후에는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노인 자살 군집이 나타났다. 

주씨는 특정 지역(일명 A지역)의 주변에 노인 자살자가 많거나 적을 경우 다음 분기 A지역의 자살자 수가 변하는지도 분석했다. 

그 결과 만약 현재 A지역에 자살자가 적지만 주변 지역에 노인 자살자가 많다면 A지역에서 다음 분기에 자살자가 증가할 확률은 0.7(1점 만점)이었다. 반대로 A지역과 주변의 노인 자살자가 모두 적다면 다음 분기 A지역의 노인 자살자가 증가할 확률은 0.4로 줄었다.

또 A지역의 노인 자살자가 많고 주변 지역은 적다면 다음 분기 A지역의 자살자가 높아질 확률은 0.48이지만, 주변 지역 자살자 수도 많았다면 0.67로 증가했다.

노인 자살에 영향을 주는 주된 지역·환경적 요인으로는 경제력, 도시공원 면적 비율, 노인인구 이동률 등이 꼽혔다.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가 많을수록, 시가지화 면적 대비 도시공원 면적 비율이 낮을수록, 노인 인구 이동률이 낮을수록 노인 자살이 많았다. 

인구밀도, 노인 여가시설 비율, TV 뉴스 시청률, 지역 신문 매체 개수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다. 

논문은 "노인 여가시설의 경우 통상 자살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자살의 전염성을 생각했을 때 우울한 노인 곁에 있는 것은 되려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