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구도 ‘국정안정론 40.7% vs 정권심판론 46.1%’

이명박 정부 이래 대선개입,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공개, 간첩조작 의혹에 이어 최근 이인규 전 중수부장이 폭로한 노무현 전 대통령 검찰 수사개입 및 여론공작 의혹 등 국가정보원 관련 의혹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과반이 넘는 국민들은 국정원이 부당한 정치개입을 일삼고 있다고 평가해 주목된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가 인터넷방송 <팩트TV>와 함께 지난 28일 국가정보원의 현재 국정원의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어떤 주장에 더 공감하느냐는 질문에 법률과 국익에 부합되는 본연의 업무에 충실하다는 응답은 21.9%에 그친 반면, 55.7%정보기관의 특수성을 이용해 부당한 정치개입을 일삼고 있다고 답해 국정원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33.9%p 더 높았다(무응답 : 22.4%)2일 밝혔다.

60(본연의 업무에 충실 37.8% vs 부당한 정치개입 22.1%)와 새누리당 지지층(50.6% vs 16.5%)본연의 업무에 충실하다는 응답이 높은 반면, 다른 계층에서는 모두 부당한 정치개입을 일삼고 있다는 응답이 더 높았다. 특히 대구/경북(23.0% vs 47.4%)과 부산/울산/경남(25.5% vs 53.7%)에서도 부정적인 시각이 2배 이상 더 높아 눈길을 끌었다.

가장 바람직한 국정원 개혁방안으로는 해체 후 대공해외정보 등을 전담하는 정보기관 신설을 가장 많이 꼽았다. “만약 국정원을 개혁할 경우 어떤 방식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현 국정원 해체 후 대공해외정보 등을 전담하는 정보기관 신설(34.2%) > 국정원의 예산조직업무 등 국회 심사 및 감사권 확대(27.5%) > 국정원 현행 유지 및 자체 개혁(26.7%)’순으로 나타났다(무응답 : 11.6%).

국정원 해체 후 대공해외정보 전담기관 신설은 남성(35.4%), 40(48.7%), 호남(46.0%), 정의당 지지층(60.9%), ‘국회 심사 및 감사권 확대19/20(35.5%)와 강원/제주(41.9%), ‘국정원 자체개혁60(40.8%)와 대구/경북(33.0%), 새누리당 지지층(52.5%)에서 각각 높게 나타났다.

20164월 총선이 약 12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다음 총선에서 정권심판론이 여전히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반적인 국민정서를 고려할 때 내년 총선에 국정안정론과 정권심판론 중 어떤 이슈가 더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느냐는 질문에 국정안정론(40.7%) vs 정권심판론(46.1%)’로 심판론이 오차범위 내인 5.4%p 높았다(무응답 : 13.2%).

연령대별로 19/20(안정론 30.3% vs 심판론 64.3%), 30(24.3% vs 68.5%), 40(38.1% vs 53.9%)심판론16~44%p 높은 반면, 50(52.3% vs 29.2%)60(55.1% vs 19.8%)안정론23~35%p 더 높아 내년 총선에서도 치열한 세대 간 대결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서울(안정론 38.8% vs 심판론 49.0%), 경기/인천(41.4% vs 48.1%), 충청(36.6% vs 52.2%), 호남(37.0% vs 43.5%), 부산/울산/경남(41.0% vs 43.3%)은 오차범위 안팎에서 심판론이 더 우세했고, 대구/경북(49.2% vs 37.6%)과 강원/제주(42.5% vs 40.4%)에서는 안정론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안정론(39.7%) vs 심판론(50.6%)’심판론10.9%p 높았고, 여성은 안정론(41.7%) vs 심판론(41.7%)’로 똑같았다. 특히 캐스팅보트를 쥔 무당층에서는 안정론(28.2%) vs 심판론(57.4%)’, ‘심판론2배 나 높아 현 추세대로라면 내년 총선에서 여당의 고전이 예상된다.

이 조사는 지난달 28일 전국 만19세 이상 휴대전화가입자 1천명을 대상으로 컴퓨터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 임의전화걸기(RDD)로 진행했다. 표본은 20151월말 현재 국가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라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했고,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p. 특히 본 조사는 28일 오전 10시부터 2시간가량 <리서치뷰><팩트TV>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공개조사로 진행됐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