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면전환 노리는 문재인, 1년만에 전면나선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원 불법 해킹 프로그램 시연 및 악성코드 감염검사'에서 관계자에게 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원 불법 해킹 프로그램 시연 및 악성코드 감염검사'에서 관계자에게 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폴리뉴스 서예진 기자]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가 잠잠해지고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휘몰아치던 국회에 ‘국정원 해킹 의혹’이라는 폭탄이 떨어졌다.

국가정보원이 2012년 이탈리아 해킹팀으로부터 인터넷·스마트폰 해킹 프로그램을 구입해 사찰에 활용했다는 의혹이 불거지자 새정치민주연합은 곧바로 국정원 공세에 나섰다.

특히 문재인 대표는 국정원 불법사찰진상조사위원회를 꾸리고 위원장으로 보안 프로그램인 V3를 만든 ‘안철수연구소(안랩)’의 설립자, 안철수 전 공동대표를 발탁해 16일 해킹 시연을 선보이는 등 연일 국정원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안 전 대표 또한 지난번 메르스특위 위원장직을 고사했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주저하지 않고 이 사태의 전면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는 의혹이 불거지자마자 보안 전문가들과 함께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논의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안 전 대표는 자신이 위원장직을 맡은 것에 대해 지난 15일 기자들과 만나 “의사는 당내에 저 말고 몇 분 더 계시지만, 컴퓨터 보안 전문가는 저 하나라 제가 맡아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16일 해킹 프로그램 시연회에서 안 전 대표가 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의 스마트폰을 손수 검사하는 광경은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흥미로운 장면이었을 것이다. 특히 문 대표와 안 전 대표는 잠재적 대권 경쟁자인 만큼, 두 사람이 손잡고 같이 나서는 모습은 국민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했다. 

다만 이 사태 앞에서 문 대표와 안 전 대표는 살짝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두 사람 모두 ‘철저한 진상 규명’과 ‘국정 조사 불사’를 한 목소리로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문 대표는 당밖의 사태를 계기로 해 국면을 자신 쪽으로 전환하려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안 전 대표는 위원장직 수행을 통해 보안 전문가로서의 자신의 ‘존재감’을 더욱 드러내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로서는 현재 혁신안과 분당론의 영향으로 혼란스러운 당내를 정비하고, 대여(對與) 공세를 위해 당내 단합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또한 대선 당시 국정원 댓글 공작의 큰 피해자인 문 대표에게는 이번 사태가 지지층 결집과 함께 정부·여당에 대한 공세를 펼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일 것이다. 그러다보니 새정치연합 지도부와 원내지도부는 사태 초기부터 ‘국정원 불법 대선 개입 시즌2’로 규정짓고 끊임없이 비판해온 것이다. 

이에 여당에서는 ‘정치공세 하지 말라’고 지적했고, 이에 대해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가 16일 정책조정회의에서 “공세 하는 것이 원칙이고 규탄하는 것이 할 일”이라고 반문한 것은 야당의 공세가 ‘정치공세적 성격’을 지녔음을 반증한다.

한편 안 전 대표는 지난해 7.30재보궐선거 패배 이후 1년여 동안 공식 당직을 맡지 않았다. 그동안 인재영입위원장, 혁신위원장, 메르스특위 위원장 제의를 모두 고사하고 철저히 거리를 둬왔으나, 이번에는 본인에게도 남는 장사라는 관측이 많다. 안 전 대표 또한 국정원 댓글 공작의 피해자였기에, 자신의 지지층을 재결집하고, 여야 정쟁의 소재인 ‘대선 개입’보다는 철저한 ‘인권 문제’로 접근하면, 지지율 반등의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안 전 대표는 “정치공세를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 된다”면서 “국민들의 가장 기본적인 인권이자 사생활 침해의 여지를 없애는, 정치권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대여 공세’에는 선을 그은 바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입장은 국민 입장에서 보기에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공세’와 ‘국민의 사생활 및 인권 보호’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야당의 두 대선주자가 이번 사태에 손을 맞잡은 것은 두 사람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야당의 ‘진상규명’과 ‘국민 사생활 및 인권 보호’를 위한 활동을 주목해 볼 시점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