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단독 레이스 되면 필패의 길

사진: 연합뉴스 제공
▲ 사진: 연합뉴스 제공

더민주의 전당대회가 8월 27일로 확정되었다. 김종인 비대위 체제를 이어 내년 대선까지 원내 제1당 더민주를 이끌고 갈 차기 대표 자리에 누가 오르게 될지, 야권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여러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지만, 경선에 뛰어들 후보들은 좀 더 시간이 지나야 윤곽이 드러날 듯 하다. 하지만 결국은 당내 최대세력인 문재인계의 의사에 따라 당권의 향배가 좌우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유력하다.

이는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첫째, 4.13 총선의 결과 문재인 전 대표의 당내 세력기반은 한층 강화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김종인 대표는 더민주의 확장성을 키우겠다며 중도정당으로의 개조를 시도했고 그를 위해 친노.친문 인사들의 후퇴를 압박하기도 했지만, 결과는 오히려 문 전 대표와 가까운 인사들이 대거 진출하는 환경을 낳았다. 둘째로는 대표 선출방식이다. 더민주 당헌은 ‘대의원+권리당원’ 투표 70% 이상, ‘일반당원+국민’ 투표 30% 이하로 하여 대표 경선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새정치연합에서 탈당 사태가 있던 지난 해 연말 이후 10만명 가량의 온라인 당원이 입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문 전 대표의 지지층으로 판단되는 이들은, 현재의 당헌.당규대로라면 이번 경선부터는 권리당원으로서의 투표권을 행사하게 된다. 온라인 입당 당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예상한다면 차기 대표 선출에서 상당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민주 안에서는 그 누구도 문재인계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서는 대표가 되기 어렵다는 관측이 벌써부터 나오는 이유이다. 아니, 문 전 대표 쪽에서 후보를 내면 당권을 잡는 것이 그리 어렵지는 않은 여건으로 보인다.

문제는 더민주가 안고 있는 확장성의 딜레마이다. 문재인이 없어서도 안되지만, 문재인만 갖고는 안되는 딜레마를 더민주는 아직껏 풀지 못하고 있다. 김종인 대표가 이를 위해 당의 중도화를 시도했지만 당 안팎의 반발 속에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내년 대선이 없다면 당내 최대 세력이 자신들의 뜻대로 당을 이끌고 가는 것이 문제가 될 것도 없겠지만, 내년 12월 대선 승리를 목표로 하는 정당으로서는 문재인 지지율을 넘어서는 확장성을 확보해야만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더민주가 문 전 대표의 뜻에 따라 움직여지고, 대선 경쟁이 문 전 대표의 단독 레이스로 비쳐지는 상황이야말로 더민주로서는 최악의 상황일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더민주의 후보 선출 과정은 별다른 흥행 거리가 되기도 어렵고, 그렇게 해서 선출된 후보의 경쟁력도 상승되기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더민주가 살고자 하여 역동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경쟁에 대한 진입장벽을 제거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당내 계파 간 힘의 우열에 따라 승부가 나는 것이 아니라, 대선 본선에서의 경쟁력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며 후보가 선출되는 길을 열어야 한다. 김부겸, 박영선, 박원순, 안희정, 이재명, 김부겸 혹은 손학규라도, 그리고 그 누구든지 경쟁에 뛰어들 의욕을 불러일으킬 장을 만들어 가야한다. 새로운 바람을 일부러라도 연출해야 한다. 더민주에는 그만한 자산들이 있다.

그렇지 않고 문재인만 보이고 다른 얼굴들은 볼 수 없는 대선가도가 된다면 더민주의 활력과 역동성은 기대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차기 대표부터 최대 주주의 뜻에 따라 움직이는 대표가 아니라, 더민주의 확장성을 이루기 위한 독립적 소신을 가진 인물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아야 한다. 앞으로 있게 될 더민주 내부의 경쟁들이 당내의 협소한 계파간 경쟁이 아니라 국민의 시선을 끌 역동성을 보여주느냐에 더민주의 앞길이 달려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