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지방선거 위해 정치공학적으로 한국당과 합쳤을 때 국민신뢰 얻겠나”

바른정당 정문헌 전 사무총장이 17일 오후 바른정당 당사에서 '폴리뉴스'와 인터뷰를 가졌다. <사진 이은재 기자></div>
▲ 바른정당 정문헌 전 사무총장이 17일 오후 바른정당 당사에서 '폴리뉴스'와 인터뷰를 가졌다. <사진 이은재 기자>
[폴리뉴스 김희원 기자] “바른정당을 창당할 때의 상황, 그때의 결기, 도원결의했던 의지를 되새기면서 망각하지 말자”

자강파로 분류되는 바른정당 정문헌 전 사무총장은 17일 오후 바른정당 당사에서 진행된 ‘폴리뉴스’ 김능구 대표와의 ‘정국진단’ 인터뷰에서 자유한국당과의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당 내 ‘통합파’를 향해 이같이 호소했다.

바른정당은 현재 분열 위기 상황에 놓여있다. 바른정당은 창당 이후 지금까지 ‘자강파’와 ‘통합파’가 갈등을 겪어 왔다. 이 과정에서 지난 5월 대선 직전 12명의 의원들이 바른정당을 탈당해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했다. 최근에는 김무성 의원을 비롯한 통합파 9명은 자강파를 설득하는 데 실패할 경우 탈당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는 통합파가 집단탈당을 비롯한 ‘결행’ 시점을 국정감사 이후로 늦추면서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간 상황이다.

정 전 사무총장은 “현실적인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새로운 보수 재건을 외치면서 왜 당을 만들었나를 망각해서 되겠나”라며 “다시금 각오를 새롭게 하는 게 옳지 않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 전 사무총장은 “자기 반성과 성찰이 없이 그냥 정치공학적으로 내년 지방선거를 치러내기 위해서 자유한국당과 합쳤을 때 그 선거가 과연 얼마나 승산이 있을 것이며, 그렇게 합친 세력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냐를 곰곰이 생각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 전 사무총장은 만일 통합파의 집단탈당이 결국 현실화돼 원내교섭단체(20석)가 무너지게 된다면 국민의당과의 연대를 고려해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그는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는 국민의당과의 특별교섭단체 구성 가능성에도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속초시고성군양양군’에서 17대, 19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문헌 전 사무총장은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실 통일비서관을 지낸 바 있다.

자유한국당을 탈당해 바른정당 창당에 합류한 정 전 사무총장은 최근 사무총장직에서 사퇴하고 내달 13일에 열리는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한 바 있다.

다음은 정문헌 전 사무총장과의 인터뷰 내용 중 일부다.

-최근 새로운 지도부 선출을 위해 내달 13일 치러지는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했는데, 어떤 각오로 출마했나.
우리 정치 현실을 보면서 그런 느낌을 많이 받는다. 미래로 나아가는 정치, 미래 비전을 보여주는 정치를 해야 하는데 지금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퇴행적인 적대적 공생관계를 보이고 있다. 미래를 열망하는 국민들의 뜻을 전혀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개혁적인 중도보수를 세력화시켜야 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보수 재건이 이뤄져서 미래지향적인 정치가 이뤄져야 한다. 그것을 만들어내야 하는 사명이 바른정당에 있다. 만약 그것을 실패하게 되면 우리나라 정치 자체가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고 극단적으로 말하면 나라가 망한다. 개혁적 중도보수세력을 세력화시키고 대한민국 보수를 재건하는 역할을 바른정당이 수행할 수 있도록 미력한 힘이나마 보태고, 그것에 앞장서야 한다는 생각에서 전대 출마를 결심하게 됐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에서 보수정당에 몸 담아왔던 분들은 통합에 대한 열망이 강하다. 지역구 국회의원들과 당협위원장들은 이들의 통합 요구 때문에 곤혹스럽다고 하는데.
지금 통합을 주장하는 분들의 명분이 조금 약하다. 어찌보면 명분이 없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통합을 하고 싶어하고 통합을 추진하는 이유에는 지금 지적하신 그런 현실적 문제가 존재한다. 자신을 따르는 분들이, 자기 사람이 지방선거에서 살아야 하는데 바른정당 간판으로 살 수 있겠나라는 문제제기가 있고, 국회의원들이나 당협위원장 입장에서는 자기 세력을 내년 지방 선거를 통해서 진출을 시켜놔야 그것이 다음 총선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는 생각이 있으니까 명분보다는 현실이 통합을 바라보게 만드는 게 아닌가 싶다. 바른정당을 창당할 때의 상황, 그때의 결기, 도원결의했던 의지를 되새기면서 망각하지 말자. 현실적인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때 우리가 새로운 보수 재건을 외치면서 왜 당을 만들었나를 망각해서 되겠나. 다시금 각오를 새롭게 하는 게 옳지 않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다. 그건 제 생각이고 통합을 주장하는 의원들도 생각이 많을 것이고 마음이 복잡할 것이다.

바른정당 정문헌 전 사무총장이 17일 오후 바른정당 당사에서 '폴리뉴스'와 인터뷰를 가졌다. <사진 이은재 기자></div>
▲ 바른정당 정문헌 전 사무총장이 17일 오후 바른정당 당사에서 '폴리뉴스'와 인터뷰를 가졌다. <사진 이은재 기자>

“통합으로 가는 과정…문제는 방법과 시간”

-자강파로 바른정당의 창당 가치와 노선을 지키겠다고 하는 분들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실적인 목표를 제시해줘야 하지 않겠나. 지방선거에서 우리도 이길 수 있다,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이야기해야 하는 것 아닌가. 자강파들도 지방선거는 이대로 가면 바른정당으로는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자강파 의원들도 중도를 세력화시키면서 보수를 새롭게 재건시키는 것에는 분명히 통합이 한 꼭지라고 생각한다. 보수세력이 중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쭉 가서 재건하는데 통합이 한 꼭지가 될 수밖에 없다. 그게 안되면 가운데만 따로, 오른쪽 왼쪽 따로 되는 것 아니냐. 통합으로 가는 과정이라는 생각들은 공유하고 있는데, 요는 어떤 식으로 통합을 만들어갈 것인가의 방법과 시간의 문제다. 소위 말하는 보수가 궤멸돼있다고 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결국에는 국민들에게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우리가 이렇게 이렇게 정치를 펼침으로써 이 나라의 새로운 역사를 열어보겠다는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세력화가 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 자기 성찰과 반성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자기 반성과 성찰이 없이 그냥 정치공학적으로 내년 지방선거를 치러내기 위해서 자유한국당과 합쳤을 때 그 선거가 과연 얼마나 승산이 있을 것이며, 그렇게 합친 세력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냐를 곰곰이 생각해봐야 한다.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분들은 뭐라고 할지 모르지만 우리가 깊은 반성과 성찰을 통해서 이런 정치를 펴나가겠다라는 것이 진정성 있게 전달되는 것이 더 나라를 위하고 보수를 위한 길이 아닌가 생각한다.

“탈당 현실화된다면 전대 예정대로 치를지, 비대위로 갈지 논의 있을 것”
“국민의당과의 연대 생각해봐야”

-김무성 의원과 김영우, 김용태, 황영철 의원 등 바른정당 통합파 9명은 11·13 전당대회 후보 등록일인 이달 26일까지 자강파를 설득하는 데 실패하면 탈당이 불가피하다는 데 공감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탈당이 현실화된다고 해도 전당대회는 예정대로 치러지나.
교섭단체 유지가 됐으면 좋겠지만 탈당이 현실화 될 수 있다고 가정했을 때 개인적 생각은 ‘이 없으면 잇몸’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개혁적 중도보수를 세력화하면서 보수재건을 하고 이런 과정에서 중장기적으로 달라지리라는 확신을 갖고 있다. 단기적으로 봐서는 중도 베이스가 강하다고 생각되는 국민의당과의 연대도 현실적으로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탈당이 일어나게 되면 교섭단체가 무너지니까 비상상황이다. 당 지도체제를 가다듬어야 되는 것은 분명하고 빠른 시일 내에 지도체제를 갖춰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그것의 방식이 그냥 전대로 갈 것이냐 아니면 비상사태가 일어났으니 비상대책위원회 형식을 빌려서 갈 것이냐는 부분은 또 다른 논의가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현직 국회의원 한 명이라도 탈당하게 되면 원내교섭단체(20명 이상) 지위를 잃게 된다. 지난 18대 국회에서 자유선진당과 창조한국당이 교섭단체를 만든 선례가 있다. 국민의당-바른정당 간 특별교섭단체 구성 가능성이 거론되는데.
개별적으로 국민의당 의원들을 접촉하면 제가 앞서 말씀드린 그런 맥락에서 정치인들이 깊게 성찰을 해야 하고 정치활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굉장히 많은 것 같다. 그런 부분들이 어우러진다면 그것도 현실적으로 가능한 이야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일정 부분 갖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문제를 극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대한민국 정치판을 바꿔내는 것이 더 무게감 있고 중요한 일이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