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인 11월 13일 오전 6시 현재, 전국이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이고 있다.
오늘 미세먼지 농도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보통' 수준을 보이겠다.
오늘은 북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을 차차 받아 전국이 차차 흐려져 밤부터 내일(14일) 새벽 사이에 서울.경기도와 강원영서, 충청도, 전라도는 한때 비가 조금 오는 곳이 있겠다. 서울.경기도와 강원영서, 충청도는 낮 동안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
* 예상 강수량(13일 밤부터 14일 새벽까지)
- 서울.경기도(13일), 강원영서(13일), 충청도, (14일) 전라도, 제주도산지 : 5mm 미만
- 북한(13일) : 5~20mm
* 예상 적설(13일)
- 북한 : 5~15cm
내일(14일)은 기압골의 영향에서 벗어나 중국 북부지방에서 확장하는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전국이 대체로 흐리다가 아침부터 맑아지겠다.
모레(15일)는 중국 북부지방에서 남동진하는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나,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서해상 해기차에 의해 만들어진 구름대의 영향으로 충청도와 전라도는 구름이 많고 새벽부터 오전 사이에 눈이 날리거나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
< 기온 전망 >
내일(14일) 낮까지 평년과 비슷한 기온분포를 보이겠으나, 내일 밤부터 북서쪽에서 찬 공기가 남하하고, 바람도 약간 강하게 불어 체감 온도가 낮아 추워지겠다.
< 건조 현황과 전망 >
현재, 강릉평지와 제주도산지에 건조주의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대기가 매우 건조하겠고, 그 밖의 동해안에도 대기가 건조하겠으니, 산불 등 각종 화재예방에 유의해야 된다.
< 강풍 전망 >
오늘 밤부터 서해안과 산지에는 바람이 강하게 부는 곳이 있겠다.
< 해상 전망 >
내일(14일) 오전까지 동해안에는 너울에 의한 높은 물결이 해안도로나 방파제를 넘는 곳이 있겠다.
또한, 내일 서해먼바다와 동해먼바다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고, 물결이 높게 일겠으니,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각별한 유의가 팔요하다.
한편 11월 13일 오전 3시 18분경 이라크 바그다드 북동쪽 218km 지역(34.93 N, 45.79 E)에서 규모 7.2의 지진이 발생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이번 지진의 진앙은 이라크 술라이마니야주 할아브자에서 남남서 쪽으로 32㎞ 지점, 깊이 33.9㎞로 측정됐다.
현지 언론들은 인구가 집중된 지역은 아니지만, 일부 마을 건물이 무너지고 단전돼 구조대가 급파됐다고 보도했다.
아직 정확한 인명 피해는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최소 6명이 사망하고 100여 명이 넘는 부산자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이은주 기자] 연말 똑똑한 고배당주는? 저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연말을 앞두고 '고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주명부가 폐쇄되기 전에 주식을 매입하면 이익을 배당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때문에 연말이 다가올 수록 고배당주를 찾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다음은 증권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국내 고배당주들입니다. 두산: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두산'의 올해 배당 수익률 추정치가 7.62%로 가장 높습니다. 쌍용양회:쌍용양회도 높은 배당이익을 기대 가능한 종목으로 꼽힙니다. 9월 부진했던 출하량이 10월 출하량 증가로 이어지면서 4분기 출하량이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ESS 및 폐열발전 가동으로 원가 개선 효과도 커져 배당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효성, 기업은행,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DGB금융지주, 현대중공업지주도 연말 고배당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다만 금융주 고배당주에 대한 투자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국의 고배당주 다수는 금리 변동에 민감한 은행 등 금융주에 쏠려 있기 때문이죠. 아무래도 저금리 환경에서 기업들은 은행에 대출하기보다 채권을 발행하는 등 자금 조달 환경을 바꿀 수
[폴리뉴스 김윤진 기자] “제공 데이터 소진시 1Mbps 제어 데이터 무제한” “클라우드 게이밍 권장 속도 20Mbps" 최근 동영상, 게임 등 스트리밍 서비스가 유행하면서 ‘bps'라는 통신용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생소한 용어인데, 무슨 뜻일까요? ‘bps’란 ‘bits per second’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속도’의 단위입니다. 1Mbps, 20Mbps 등에서 앞의 숫자는 1초 동안 송수신할 수 있는 bit(비트) 수를 말합니다. 1Kbps는 1000bps, 1Mbps는 1000Kbps, 1Gbps는 1000Mbps로 환산됩니다. 여기에 낯익은 용어인 컴퓨터 정보 처리 단위 ‘byte'를 대응해봅니다. 1bps는 컴퓨터 정보 처리 단위와 대응하면 8byte가 됩니다. 즉, 1Mbps 속도로는 1초당 0.125MB, 1Gbps 속도로는 1초당 125MB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셈입니다. 그래도 어렵다고요? 그렇다면 이번엔 bps가 생활 속에 어떻게 녹아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신의 스마트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1Mbps라면, 텍스트 위주의 카카오톡이나 웹서핑은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3Mbps라면 SD(640x480) 화질의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