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자동차산업 위기 공감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사진=현대자동차 제공>
▲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사진=현대자동차 제공>

[폴리뉴스 박재형 기자] 현대자동차 노사가 27일 임금협상을 타결하면서 18년 만의 최단기간 교섭, 11년 만이 최고찬성률, 8년 만의 휴가 전 타결, 7년 만의 최소 규모 파업 기록을 세웠다. 

1년 전인 지난해만 하더라도 노사의 1차 잠정합의안이 노조 투표에서 부결돼 결국 해를 넘겨 타결됐고, 2016년 교섭 역시 1차 부결 후 2차에서 타결된 점 등을 고려하면 최근의 변화는 주목된다.

노동계는 영업이익 감소와 관세 폭탄 우려 등 어느 때보다 심각한 경영 상황에다 파업 시 여론 악화 등이 노조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해 조기 타결을 이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현대차의 올해 교섭은 지난 5월 3일 상견례 이후 85일 만에 타결됐다.

이는 2010년 임협 당시 45일 만에 타결한 이후 가장 짧은 것이다.

조합원들이 찬성표를 던진 비율은 11년 만에 최고를 기록으로 찬성률은 63.39%이며 이는 2007년 77.1% 이후 가장 높다.

올해 임금 인상은 기본급 4만5000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격려금 250%+280만 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상품권 20만 원 지급 등이다.

지난해 기본급 5만8000원 임금 인상(정기호봉과 별도호봉 포함), 성과금 300%(통상임금 대비)+280만 원, 중소기업 제품 구매 시 20만 포인트(현금 20만원 상당), 전통시장 상품권 20만 원 지급 등과 비교해 다소 낮은 수준인 것을 참고하면 최고찬성률은 의미가 더 크다.

지난해와 2016년 모두 1차 잠정합의안이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돼 2차 잠정합의안까지 만들어야 했던 것과 비교된다.

올해는 한번 만에 잠정합의안이 통과돼 8년 만에 여름 휴가 전 타결을 끌어냈다.

파업 규모도 7년 새 가장 적다. 노조는 올해 2차례 부분 파업해 회사 추산 1만1487대(2502억 원 상당) 생산차질을 빚었다.

지난해 24차례 파업(회사 추산 생산차질 1조6200여 억 원), 2016년 역시 24차례(생산차질 3조1132억 원) 파업한 것과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수준이다.

노조가 경영과 자동차산업 위기를 체감하면서 이런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1조632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1% 줄었다.

지난해에도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으로 영업 실적이 전년보다 하락했는데, 올해는 더 악화한 것이다.

미국의 ‘관세폭탄’ 우려, 달러화 대비 원화 강세 등 대외의 부정적인 요인도 지속하고 있다.

그나마 국내 시장에서 코나와 싼타페 등 신형 SUV 판매 호조로 판매량이 2.8% 증가했고 유럽 권역과 주요 신흥시장 등에서 판매가 확대된 것이 더 큰 경영악화를 막았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나서 자동차 개별소비세를 인하해 내수 진작에 나섰는데 교섭 장기화와 추가 파업 등으로 '집안싸움'이 길어지면 해외 이미지 하락, 국내 여론 악화 등으로 판매감소 요인이 겹칠 수 있다는 판단이 노사 모두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