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당권에 도전하는 송영길(왼쪽부터)·김진표·이해찬 의원이 8일 오후 부산문화방송 사옥에서 열린 생방송 합동토론회에 앞서 손을 잡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당권에 도전하는 송영길(왼쪽부터)·김진표·이해찬 의원이 8일 오후 부산문화방송 사옥에서 열린 생방송 합동토론회에 앞서 손을 잡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진표 의원이 8.25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 대표 경선에서 꺼낸 든 ‘이재명 자진 탈당’ 카드가 한계에 봉착한 모습이다. 초반 ‘이재명 탈당’ 카드는 친노, 친문 주류 진영을 ‘갈라치기’하면서 ‘신의 한수’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무엇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에 대한 집권 여당 주류진영의 호불호가 명확한 상황에서 ‘호’(好)보다 ‘안티 이재명’ 세력을 단시간에 자신의 우호 세력으로 만들었다는 호평도 나왔다. 이로인해 이 의원에 비해 절대적으로 약한 세 싸움에 도전할 발판을 만들었다는 자평도 나왔다.

또한 ‘이재명 탈당’ 카드로 ‘이해찬 대세론’을 어느 정도 흔드는 효과도 보았다. 사실 이해찬 의원 입장에서도 여성.욕설.조폭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이 지사를 옹호하기가 부담스러웠던 게 사실이다. 그렇다고 이재명 지사와 ‘거리두기’를 하자니 이 지사 지지 세력과 자신을 옹호하는 세력이 겹쳐 곤혹스럽기는 마찬가지였다.

이 의원이 이재명 탈당 카드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보여주지 못하는 사이 김 의원은 친문 주류를  갈라치기하면서 반사 이익을 톡톡히 얻은 셈이다. 이는 여론조사에서 이 의원의 뒤를 바짝 뒤쫓는 결과가 나와 양강 구도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당 대표 선거가 중반으로 흐르면서 경제관료 출신으로 경제 전문가 이미지가 뒤로 밀려나고 정치 싸움꾼으로 비쳐지면서 ‘이재명 약발’이 다 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대세론’을 등에 업은 이 의원이 김 의원의 도발에 대해 이렇다할 대응을 하지 않고 당내 어른으로써 대범한 모습을 보이면서 김 의원의 입지가 더 좁아지는 형국이다. 실제로 이 의원은 초반 무대응 원칙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 의원은 “아무 결과가 없는데 누구는 탈당해야 하고, 누구는 보호해야 한다고 하는 것은 당 대표로서 할 태도가 아니다”며 점잖게 꾸짖었다.

또한 이 의원은 “김 지사나 이 지사 모두 당의 소중한 자산”이라며 ‘통큰 모습’을 연출해 ‘이해찬 대세론’을 다시 점화시키기 시작했다.

8월8일 열린 부산MBC 합동 토론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김 지사가 ‘온정주의’라고 비판하자 “편을 들려는 게 아니라 내분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나아가 당의 단결을 주장하면서 ‘원팀’을 강조하고 ‘김병준 대망론’을 비판하는 등 외부 공격에 나서는 등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후보로서의 자신감을 내비쳤다.

결국 김 지사가 당 내분을 일으키는 ‘분열주의자’라는 이미지가 덧씌워지면서 민주당 지지층으로부터 역풍을 맞을 위기에 처했다. 김 지사는 이제 ‘이재명의 약발’이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자신에게 맞는 경제와 협치라는 원래 옷을 입어야 한다. 사실 ‘20년 집권론’과 ‘보수 궤멸론’을 주창하고 ‘적폐청산’을 말하는 이 의원이야 말로 타고난 싸움꾼이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오죽하면 ‘불통’의 이미지를 불식시키기위해 대전.충남 대의원 대회에서 이 의원은 SNS 과외를 받는 동영상을 공개할 정도다. 이제 김 의원은 자신이 경제 전문가로서 문재인 정부의 최대 현안인 ‘경제 살리기’에 적임자라는 점을 내세워야 한다. 또한 ‘협치’를 내세울때다. 협치에 누구는 나가라 누구는 괜찮다는 것은 앞뒤가 안맞는 말이다.

때마침 2기 내각 구성을 앞둔 문재인 정부가 ‘협치 내각’을 제안하면서 ‘협치’가 여의도의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정통 경제관료 출신에 타 후보보다는 ‘유연성’을 갖추었다는 평가를 받는 김 의원이다. 더 이상 ‘약발’ 떨어진 이재명 탈당 카드를 접고 경제 당 대표 후보로서 유능한 경제정당을 만들 수 있는 정책경쟁을 벌여야 한다. 그래야 경제적 폭염속에서도 허리띠 졸라메고 살아가는 국민들과 지지자들에 대한 집권 여당 당대표 후보로서 기본 예의다.

※외부 필자의 기고는 <폴리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