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첫 정부기념식 참석해 “한일 외교분쟁으로 이어지지 않길”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4일 오후 충남 천안 국립 망향의 동산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 이용수 할머니의 손을 잡고 장미묘역으로 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4일 오후 충남 천안 국립 망향의 동산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 이용수 할머니의 손을 잡고 장미묘역으로 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기림의 날)’ 첫 정부기념식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일 양국 간의 역사문제에 그치지 않고 전시 여성 성폭력의 문제, 인류 보편적 여성 인권의 문제”라며 외교적으로 해결될 사안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충남 천안시 국립 망향의 동산에서 개최된 ‘기림의 날’ 첫 정부기념식에서 위안부 문제의 해결에 대해 “우리 자신과 일본을 포함한 전 세계가 전체 여성들의 성폭력과 인권문제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다시는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굳은 각성과 교훈으로 삼을 때 비로소 해결될 문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한일 양국 간의 역사문제에 그치지 않고 전시 여성 성폭력의 문제, 인류 보편적 여성 인권의 문제”라며 “유엔의 모든 인권기구와 세계 여러 나라에서 거의 매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결의가 채택되고 권고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제 우리는 아픈 상처를 넘어 세계 여성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실천해야 한다. 진실을 외면한 역사를 바로잡고 정의를 세우는 것이 우리의 할 일”이라며 “저는 이 문제가 한일 간의 외교 분쟁으로 이어지지 않길 바란다. 양국 간의 외교적 해법으로 해결될 문제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은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전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간의 ‘한일 위안부 합의’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외교적으로 해결됐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반박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문 대통령은 한일 위안부 문제를 과거처럼 우리가 한일 외교현안으로 삼지 않겠다는 의미도 담았다.

또 문 대통령은 “우리는 내일 광복 73주년을 맞는다. 하지만 이미 고령이 되신 피해자 할머니들께는 여전히 광복은 오지 않았다. 참으로 마음이 무겁다”며 “피해자 할머니들의 존엄과 명예를 회복하고, 마음의 상처가 아물 때 비로소 해결될 수 있다”고 피해자 중심 해법 원칙을 거듭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피해자 할머니들과 지속적인 소통에 성의를 다할 것”이라며 “피해자 중심 문제 해결이라는 국제사회의 인권규범에 따라, 할머니들을 문제해결의 주체로 존중하겠다. 명예와 존엄 회복을 위한 기념사업도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광복 후에도 오랜 세월 은폐되고 부정됐다. 할머니들은 가족들에게도 피해사실을 말하지 못한 채 고통을 안으로 삼키며 살아야했다. 국가조차 그들을 외면하고, 따뜻하게 품어주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그것을 복원해낸 것은 국가가 아니라 할머니들 자신”이란 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과 연대의 폭이 크게 확장되었고, 아시아 다른 나라의 피해자들에게도 용기를 주었다”며 “이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은 자신들의 명예회복 요구에 머무르지 않고 나비기금을 통해 전시 성폭력 피해자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념식 행사에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전혜숙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위원장, 이명수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기림의 날’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위안부 피해사실을 최초 공개 증언한  1991년 8월14일을 정부기념일로 지정했다. 또 2012년 12월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이날을 ‘세계 위안부의 날’로 정했고 이후 다양한 기념활동을 펼쳐왔다.

올해 첫 기념식은 추모비 제막식과 기념식 순으로 진행됐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추모비인 ‘안식의 집’은 국립 망향의 동산 내 모란묘역에 설치돼 이날 일반과 언론에 처음 공개됐다. 국립 망향의 동산은 위안부 피해자 49명이 안장된 곳이다.

안식의 집은 피해자 할머니들의 전 생애를 ▲떠나는 순간의 두려움 ▲고통과 좌절, 힘들고 고된 삶 ▲용기를 내어 세상 밖으로 나와 평화와 인권을 위해 활약한 시간 ▲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가는 마지막 모습 등 4단계로 표현한 표지석 4개와 의자석들로 이뤄졌다. 

국립국악중학교 정서연 학생의 추모 퍼포먼스(공연)를 시작으로 표지석 각각의 의미를 되새기며 순차적으로 제막됐다. 제막식 후 이어진 기념식은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영상을 시작으로 사망한 위안부 피해자들의 넋을 기리고 기림의 날 국가기념일 제정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했다.

기념식 행사는 이어 배우 손숙씨의 헌시 낭독(이청리 시인의 ‘아름다운 박수소리’), ‘가시리’ 노래를 특별 편곡한 기림공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의 말씀, 기념사 순으로 이어졌다. 또 이외에도 지방자치단체, 유관부처, 기업, 시민단체의 다양한 행사도 마련됐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