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고위급 회담 선행돼야 김정은 위원장 답방 성사될 수 있어”

11일 오후 제주국제공항에서 공군 장병들이 북한에 보낼 제주산 감귤을 공군 C-130 수송기에 싣고 있다.  정부는 지난 9월 평양정상회담 당시 북한이 송이버섯 2t을 선물한 것에 대한 답례로 제주산 감귤 200t을 12일까지 양일에 걸쳐 북으로 보낸다. (사진=연합뉴스)
▲ 11일 오후 제주국제공항에서 공군 장병들이 북한에 보낼 제주산 감귤을 공군 C-130 수송기에 싣고 있다.  정부는 지난 9월 평양정상회담 당시 북한이 송이버섯 2t을 선물한 것에 대한 답례로 제주산 감귤 200t을 12일까지 양일에 걸쳐 북으로 보낸다. (사진=연합뉴스)


우리 정부가 지난 11일 제주산 귤 200톤을 북한에 보냈다.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관계에서 우리 정부가 중재자 역할에 나선 것으로 풀이되고 있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 성사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9월 평양정상회담 직후 북한 측은 우리 측에 송이버섯 2톤을 선물했다. 당시 청와대는 북측의 선물을 미상봉 이산가족에게 전달한 바 있다.

북측은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에도 추석 선물로 송이버섯을 김대중 대통령에게 보냈으며, 2007년에도 노무현 대통령에게 송이버섯을 선물했다. 

북측은 남북정상회담 이후 우리 측에 송이버섯을 선물해 왔지만 우리 측이 이에 대한 답례를 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11일 브리핑을 통해 “9월 평양정상회담 당시 북측이 송이버섯 2t을 선물한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답례하는 것”이라며 “귤은 북한 주민들이 평소 맛보기 어려운 남쪽 과일이어서 선정했고, 대량으로 보내 되도록 많은 북한 주민들이 맛보게 하려는 마음도 담았다”고 했다. 

▲“북·미 고위급 회담 선행 필요”
지난 9월 평양공동선언 합의 발표 기자회견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나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가까운 시일 안에 서울을 방문할 것을 약속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의 가까운 시일은 연내 답방이었다.

하지만 지난 8일 북·미 고위급 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미 관계는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는 북한이 대북제재 완화를 요구하고 미국은 ‘선 비핵화 후 제재완화’로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양국 모두 강대강으로 대치하는 만큼 고위급 회담 재개 또는 실무급 회담 개최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평가가 제기된다. 때문에 김정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 역시 불투명한 상태였다.  

이와 관련해 <폴리뉴스> 김능구 대표는 “남북관계 개선에는 남·북의 대화와 북·미 대화 두 가지 측면이 맞물려있다”며 “남·북 대화 측면에서 볼 땐 김정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성사 시켜야 한다. 하지만 평화와 번영의 실질적 실현을 위한 측면에서 볼 땐 북·미 고위급회담이 연기된 만큼 연내 답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 의미는 우리 측이 방북한 것과는 다르기 때문에 성과가 필요하다. 북·미 고위급회담을 통해 사전작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북·미 간에 가닥이 잡혀야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이 이뤄질 수 있다. 귤을 보낸 것은 성의표시이자 메시지의 전달이다”라면서도 “고위급회담은 연기 했지만 북·미 실무진 간 접촉은 있을 것이라 본다. 다만 양국이 양극에서 핑퐁하고 있는 만큼 북·미 간 실마리가 잡혀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북·미 정상회담은 내년에 이뤄지더라도 북·미 고위급 회담이 성사돼야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귤 200톤’, 김정은 답방위한 ‘사전작업’
결국 이번 우리 정부의 ‘귤 200톤 답례’는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물꼬를 틀기 위한 사전 잡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대북제재 차원에서 벗어난 우리 측의 대규모 물자 반출은 2010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우리 측 역시 이번 ‘귤 200톤’은 대북제재와 상관없다는 입장이지만 한·미 외교 당국간 협의가 있었을 것이란 예측도 제기되고 있다.

우리 측의 답례는 천해성 통일부 차관과 서호 청와대 통일정책비서관이 수송기를 함께 타고 평양으로 가 선물을 북측에 인도했다. 북측에서는 전종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이 이들을 맞이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단순한 ‘답례’를 넘어설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 역시 지난 5일 진행된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이 연내에 예정대로 이뤄질지, 이후에 될지 아직은 판단할 수 없지만, 일단 연내에 이뤄진다는 것을 가정하고 준비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남북관계가 지속되거나 발전하지 못하고 단절되는 것이 많았는데 이번에는 서울 답방이 꼭 실현돼서 남북관계에 획기적인 계기를 만들었으면 좋겠다”며 “그 과정에서 국회도 환영하는 의견을 함께 모아주면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김정은 답방’ 의지에 제주특별시도 나서는 모습이다. 지난 9월 남북정상회담 당시 북측은 문재인 대통령과 우리 측 인사들을 백두산 천지로 안내했다. 이에 우리 측도 김 위원장 답방 시 한라산 방문을 검토하고 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지난 10일 김 위원장 답방 시 한라산 방문 대비 사항들을 점검했다. 원 지사는 “한라산은 보존 차원에서 백두산처럼 시설을 만들지 못했으니 걸어서 올라오기는 쉽지 않고 불가능한 상태”라며 “(김 위원장을 태운) 헬기 착륙 방안에 대해 실무적으로 두 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