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MBN은 범여권 주자 중에선 이낙연 국무총리, 범야권 주자 중에서는 황교안 전 총리를 내세워 차기 대선 양자 가상대결 조사를 벌인 결과 이낙연 총리가 황 전 총리에 크게 앞섰다고 2일 보도했다.
MBN과 매일경제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메트릭스코퍼레이션에 의뢰해 지난달 29~31일 사흘 동안 실시한 조사결과 보도에 따르면 범여권 대선주자 중 1위를 기록한 이 총리와 범야권 대선주자 중 1위인 황 전 총리 간의 가상대결에서 이 총리는 40.4%, 황 전 총리는 24.5%를 기록했다.
진보 진영과 보수 진영을 각각 조사한 결과, 진보 진영에서는 차기 대선후보로 이낙연 총리를 가장 지지했다. 이낙연 총리는 9.2%로 1위를 차지했으며 박원순 서울시장(7.7%)과 심상정 전 정의당 대표(7.0%), 이재명 경기도지사(4.7%)가 뒤를 이었다.
보수 진영에서는 유승민 바른미래당 전 대표가 10.7%로 선두에 올랐다. 황교안 전 총리(7.3%)와 오세훈 전 서울시장(6.7%),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5.3%)가 뒤를 이었습니다. 유 전 대표가 1위를 기록한 것은 정치성향이 중도와 진보적인 층에서 다른 보수후보들에 비해 높은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조사는 지난달 29~31일 사흘 동안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유선전화면접(20%), 무선전화면접(80%) 방식으로 조사했다. 전체응답률은 9.9%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청와대를 출입하면서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등의 현안을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윤중현 기자] 분양 시장이 본격적으로 기지개를 켭니다. 18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서대문구 홍제3주택재개발구역에 들어서는 홍제역 해링턴 플레이스와 비산2구역 주택재건축 단지인 평촌 래미안 푸르지오, 충남 아산탕정지구에 공급되는 탕정지구 지웰시티 푸르지오 등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들이 견본주택 문을 엽니다. 이들 단지 외에도 이달 전국에서는 1만4680가구 중 1만2394가구(84%)가 일반분양을 마쳤거나 분양을 앞두고 있습니다.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 분양이 많아 분양수는 4년 평균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효성중공업과 진흥기업은 22일 서울 홍제3동 일대에 홍제역 해링턴 플레이스 견본주택을 연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0층, 18개 동, 전용면적 39∼114㎡ 1116가구 중 419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단지에서 도보 거리에 지하철 3호선 홍제역이 있으며 내부순환도로 홍제IC, 홍은IC도 인접해 있다. 인왕초·중, 서대문도서관이 가까우며 단지 뒤로 인왕산 등산로가 인접해 있어 주거 여건이 쾌적하다. 대우건설과 삼성물산도 같은 날 경기 안양 동안구 비산2동에 평촌 래미안 푸르지오 견본주택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최근 국내 은행과 금융권에서는 핀테크랩 운영이 한창이다. 핀테크(금융에 IT 기술 접목) 스타트업에 무료 업무공간을 제공하고 투자자를 연계하는 등의 지원은 물론 디지털 금융 서비스도 함께 개발한다. 현재 금융권에는 7개의 핀테크랩이 존재한다. KB금융그룹의 ‘KB이노베이션허브’ KB금융과 스타트업이 핀테크 기술과 오픈소스를 연구하고 협업하는 공간이다. 지난해 말까지 업무제휴 79건, KB금융 계열사 투자 134억 원 연계라는 성과를 냈다.KB이노베이션허브가 육성하는 핀테크 스타트업 ‘KB스타터스’도 59개사에 달한다. KB스타터스로 선정된 간편결제 스타트업 ‘페이민트’는 최근 국민은행과 업무협약을 맺고 제로페이 사업에 참여했다. KEB하나은행의 ‘원큐애자일랩’ 지난 2015년 6월 은행권 최초로 탄생한 핀테크 스타트업 멘토링 센터다. 지난해 10월까지 54개 핀테크 기업을 발굴 및 육성했다.하나은행의 AI서비스 ‘하이뱅킹’은 원큐애자일랩 4기 ‘마인즈랩’의 인공지능(AI) 자연어 처리기술을 은행 플랫폼에 적용해 대화형 금융서비스를 구현한 사례다. 우리은행의 ‘위비핀테크랩’ 지난 2016년 8월부터 17개 혁신벤처기업을 육성했다. 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