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본래 지지율 70% 정도 회복해

최근 조사된 정당 지지율의 가장 큰 특징은 ‘한국당의 지지율 회복’을 꼽을 수 있다. 본래 한국당이 갖고 있던 지지도의 약 70% 정도를 회복한 수준이다.

3월에 실시된 여론조사 결과들을 보면, 대략 더불어민주당 35∼39%, 한국당 27∼30%, 정의당과 바른미래당이 각각 7∼9%, 민평당 2% 이내, 무당파층 15∼18% 수준이다.

한국당 지지율이 민주당 지지율을 넘어선 첫 사례는 지난 1월 23일 실시된 팬앤드마이크와 여론조사공정의 조사에서다. 민주당은 27.7%, 한국당은 29.3%로 한국당이 민주당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한국당이 35%를 넘는 결과도 같은 기관에서 실시한 2월 조사에서 였다.

민주당과 한국당의 지지율 추이 (단위 %)
▲ 민주당과 한국당의 지지율 추이 (단위 %)

 

그러나 여론조사공정의 경우, 설문 순서나 내용에 문제가 있어 같은 시기에 실시된 다른 기관 조사들로 분석했다. 한국당 지지율 상승 이유는 전당대회를 계기로 지지층 결집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당내 마땅한 차기 주자가 없던 터라 황교안 전 총리의 등장은 당 지지층에게 기대감을 준 것 같다. 황교안 대표는 홍준표 전 대표의 거친 입담과 대비되는 젠틀한 이미지와 함께 이북이 고향인 부모님, 법조인 출신, 총리직 수행에 따른 국정 2인자 경험 등 몇 가지 면에서 ‘문재인 대통령 벤치마킹’이 가능한 인물 캐릭터를 갖고 있다.

선명성 투쟁으로 지지층 결집 성공

이러한 인물 요인은 대구경북과 50대 이상의 지지율 복원으로 이어졌고 한국당 지지도 상승 요인이 되었다. 아울러 한국당이 추진한 ‘투쟁성 강화’를 통한 ‘선명 야당’ 전략은 임시국회 보이콧, 나경원 원내대표 교섭단체 연설 파행 등을 거치면서 지지층의 결집을 가속화했다.

한국당 지지율 변동 축은 20대와 PK

그럼 한국당의 ‘강경 투쟁’은 결집을 넘어 당 지지율 확장으로 이어질까?

세부적으로 보면 한국당은 수도권과 충청권, 20∼40대에서 민주당보다 열세에 있다. 이는 한국당의 대여 투쟁 공세가 영남권 지지층을 돌아오게 했지만, 수도권에선 호응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한국당 지지율 변동의 중심축은 20대와 부산·울산·경남지역이다.

20대의 민주당 지지율은 대체로 35% 이상인 반면, 이 연령대의 한국당 지지율은 10%가 안 되는 경우도 있고 28∼9%에 달하는 것도 있어 조사마다 들쭉날쭉이다.

부산·울산·경남에서 양당 지지율 역시 혼조세인데 30%대 수준에서 양당 간 격차는 최소 2%p에서 최대 12%p까지큰 편이다. 결국 민주당과 한국당 지지율 경쟁의 승부는 20대와 부산·울산·경남의 민심을 누가 잡는가에서 결판날 것으로 전망된다.

4.3 재보궐 이후 중도층 확장 필요해

한편, 4.3 재보궐 선거와 관련해 경남 통영·고성은 한국당의 텃밭으로 정점식 후보가 앞서고 있지만 민주당 양문석 후보의 추격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뚜껑을 열어봐야 할 것 같다.

창원시 성산구 재보궐선거는 고 노회찬 의원에 대한 추모 분위기 속에서 치러지는데다 민주당 권민호 후보와 정의당 여영국 후보의 단일화로 한국당 강기윤 후보가 고전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선거판세 조사를 통해 경남 지역의 양당 지지율을 좀 더 정확히 알 수 있다.

현재 조사대로 투표결과가 나온다면, 야당인 한국당과 정의당이 각각 1석씩 가져가게 된다. 특히 통영·고성에서 민주당과 한국당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게 나온다면 한국당의 대여 투쟁 공세에 빨간 불이 켜질 수 있다.

민주당 발 빠른 위기대응으로 지지율 유지 전략

강경투쟁만으로는 확장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올 것이며 당장 멈춰있는 선거법 열차 문제에 대해서도 투쟁보다는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보면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 투기 논란 등 여러 악재에도 불구하고 당 지지율이 크게 하락하지 않은 민주당은 ‘선방’을 하고 있다.

위기 발생시 발 빠른 대처를 통해 ‘매를 피하는 전략’을 적절하게 쓰기 때문이다.

 

※ 자세한 결과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에서보 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