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C 정비 해외 의존도 심해…정책적 지원하겠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3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항공우주산업 발전 전략 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김기율 기자>
▲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3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항공우주산업 발전 전략 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김기율 기자>

[폴리뉴스 김기율 기자] 정부가 올해 안에 항공 정비산업 육성 마스터플랜을 발표한다. 항공 정비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인증체계를 구축해 급성장하는 글로벌 항공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항공우주산업의 중요성을 조망하는 ‘항공우주산업 발전 전략 심포지엄’이 13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정부는 항공산업의 근간인 정비(MRO)산업 육성방안과 현황 및 문제점, 정책 추진 방향 등을 밝혔다.

오원만 국토교통부 첨단항공과장은 “항공 MRO는 항공기 운영을 위해 필요한 애프터마켓으로, 항공기 1대당 항공기 가치 대비 3~4배의 항공정비 수요가 발생한다”며 “글로벌 항공 MRO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항공 MRO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항공 MRO는 전통적으로 항공기 정비, 수리 및 분해정비를 의미했으나, 최근에는 개조 및 부품조달 등 제작 분야를 포함하며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국토부는 지난해 774억 달러였던 해외 항공 MRO시장 규모는 2028년 1147억 달러로 연평균 4.0% 성장하고,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세계 평균보다 높은 연평균 6.7%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다국적 컨설팅업체 올리버와이만 역시 오는 2029년까지 중국과 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 MRO시장이 급성장 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를 위해 현재 싱가포르와 중국은 전문 MRO를 설립하고 제작사를 유치하는 등 원스톱(One stop)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미국과 독일은 보잉, 제너럴일렉트릭(GE), 에어버스 등을 기반으로 MRO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항공사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샤프테크닉스케이, 한국항공서비스 등 전문업체를 포함한 42개 항공정비 업체를 보유했다.

오 과장은 “그러나 자가정비 체계를 보유한 FSC와는 달리 LCC는 기체, 엔진, 부품 등 대부분의 정비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며 “특히 LCC는 수리용 예비비품 확보가 FSC보다 적어 항공기 결함 발생 시 정비지연 등 항공기 정시, 안전운항에 차질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높은 인건비로 인해 대외 경쟁력이 떨어지고, 이는 항공사 경영압박의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국내 FSC의 시간당 임률이 100달러인 것에 비해 아시아 주요 국가의 시간당 임률은 50달러대로 조사돼 해외 업체보다 가격에서 비교우위를 확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2015년 1월 해외 의존도가 높은 MRO산업의 내수전환을 위해 단계별 육성방안을 수립한 바 있다. 자립기반을 확충하고 전략산업화를 거쳐 해외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육성정책 이후 사퓨테크닉스케이와 국내 LCC들은 2017년 3월 인천공항에 LCC 정비 전문 MRO법인을 세웠으며, 지난해 7월에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중심으로 정부지원을 거쳐 경남 사천에 전문 MRO법인인 한국항공서비스가 출범했다. 정부는 향후 한국항공서비스 격납고를 신축하고 국내 MRO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책적 지원을 병행한다는 계힉이다.

오 과장은 “MRO기업에 국내외 정비물량 수주와 해외 정비능력인증 획득 등을 지원하고, 올해 안에 항공 MRO산업 육성을 위한 5개년 마스터플랜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국내 개발기술 상용화를 위해 국내 인증체계를 구축하고 항공 선진국과의 상호인증체계도 확대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오 과장의 발표 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FSC의 MRO조직을 활용해 법인을 설립하면 어떻겠느냐’는 질문이 나왔다. 매각이 확정된 아시아나항공의 MRO조직을 활용하면 어떻겠냐는 것이다.

이에 오 과장은 “민간기업이 보유한 정비조직을 정부가 임의로 분리해서 별도 법인을 만들기는 어렵다. 그러나 FSC에서 사업 효율화 등을 이유로 자발적으로 해당 방안 검토가 이뤄진다면, 정부는 국내 전체 MRO산업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은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과 박정 의원,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먹고사는문제해결을 위한 의원연구모임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가 공동 주관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