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T구축 예상사업비 489억 원 중 50%는 중앙정부 예산, 나머지는 도비와 시비 투입 예정
내년 5월 개발계획 마무리, 6호 광장에서 가음정사거리 18㎞, 2023년 중앙버스전용차로 구축

BRT(간선급행버스시스템) 구축 노선도. <사진 제공=창원시>
▲ BRT(간선급행버스시스템) 구축 노선도. <사진 제공=창원시>

경남 창원시가 오는 2023년까지 도심 주요 교통축 18㎞ 구간에 트램에 앞서 우선 도입하기로 한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구축한다. 용역비 일부가 처음으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돼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게 됐기 때문이다.

창원시는 "BRT 구축을 위해 내년에 시행할 예정인 기본·실시설계에 필요한 용역비 6억 3000만 원 중 절반인 3억 1500만 원에 대한 국비 지원이 확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특화된 '창원형 BRT'를 구축한다는 방침으로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를 비롯해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국비 지원을 이끌어 내는 성과를 거뒀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부터 오는 2023년까지 마산합포구 6호광장~의창구 소계광장(6.1㎞), 소계광장~의창구 명곡광장(5.6㎞), 명곡광장~성산구 가음정사거리(6.3㎞)를 연결하는 총 18㎞ 구간의 도심 주요 교통축(3·15대로~의창대로~원이대로)에 BRT를 구축할 계획이다.

간선급행버스는 왕복 6~8차로인 이 구간의 도로 1차로를 버스 전용차로로 지정해 운행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내년 5월 완료 예정인 ‘BRT 기본구상 및 개발계획 수립용역’ 결과를 토대로 우선 순위를 정한 후 기본·실시설계를 시작으로 단계별 구축사업에 착수한다.

시는 대중교통 수단인 시내버스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BRT 시설의 고급화를 추진해 대중교통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계획이다. 특히 시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BRT 이용객이 늘어나고 향후 트램(노면전차)이 도입될 경우에 대비해 경전철(LRT) 수단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시설 기준을 마련해 창원형 BRT를 구축하기로 했다.

창원시의 BRT 구축에 필요한 예상사업비는 모두 489억 원이다. 시는 전체 사업비 중 50%를 정부 예산으로 지원받고, 나머지는 도비와 시비를 투입할 예정이다.

제종남 시 신교통추진단장은 "내년도 기본·실시설계 용역 과정에서 지역별 간담회를 개최해 시민의 소중한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것"이라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의 입장에서 창원지역 특성이 제대로 반영된 창원형 BRT를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창원시는 2014년 마산합포구 가포동에서 서성광장~창원시청~성주광장 등을 거쳐 진해구 석동에 이르는 총연장 30.4㎞ 구간에 대한 트램의 도입·운행을 추진하 바 있다.

그러나 트램 도입은 6500억여 원에 달하는 막대한 사업비 부담과 매년 300억 원 이상의 운영비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단됐었다.

창원형 BRT는 이 같은 사업비(운영비 포함) 부담을 줄이는 대신 통행시간 단축과 정시성 확보, 수송능력 향상이 가능한 저비용·고효율의 교통체계를 우선적으로 구축한다는 차원에서 도입되는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