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료 출신’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정치적 인간으로 변신하기 위해 몸부림 치고 있다. 태어나 처음으로 삭발을 하는 가하면 법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법무부 장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검찰에 자진 출두해 검찰수사에 응하지 말라고 주문도 했다. 관료출신으로 유약한 이미지를 벗고 강한 리더십의 표출인 셈인데 웬지 아귀가 잘 맞지 않는 느낌이다. 정장입고 씨름판에 나서는 선수같은 느낌이랄까.
황 대표가 삭발을 할 때만해도 어느 정도 ‘정치적 쇼’라는 느낌은 감출 수 있었다. 오히려 뒤 이어 한국당 의원들의 ‘릴레이 삭발’이 쇼처럼 느껴졌다. 박지원 의원은 ‘21세기 정치인이 하지 말아야 할 3대쇼’라고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보수 결집의 효과는 있었다.
그러나 현재 삭발에 대한 효과는 사라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당장 당 지지율이 다시 20%대로 답보상태에 빠졌고 집권여당과 격차도 더 벌어지고 있다. 대표를 위시한 릴레이 삭발식이 산토끼 입장에서는 진정성을 느끼기보다 구시대적인 행태로 인식한 탓이다.
실제로 황 대표와 한국당이 진정성을 보여주기위해선 기득권을 내려놓고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는데 그런 조짐은 전혀 없다. 총선이 6개월 앞으로 다가왔는데 보수대통합은 요원하다. 오히려 기득권 포기나 인적쇄신 없이 한국당 중심, 황교안 중심 흡수 통합을 주장하고 있으니 안철수, 유승민 모두 난색이다. 그러는 사이 황 대표의 머리털은 조금씩 자라고 있다.
지난 10월1일에는 황 대표가 검찰에 자진출두하는 승부수를 던졌다. 한 마디로 제1야당 대표로서 패스트 트랙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자당 의원들에 대한 고발 사건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런데 이날 5시간을 조사받았는데 ‘진술거부권을 행사했다’고 검찰을 나서며 말했다. 다분히 보여주기식 쇼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오죽하면 박지원 의원이 재차 제1야당 대표에게 ‘황로남불’이라고 비아냥거렸다.
또한 황 대표는 “당에 당부한다. 수사기관에 출두하지 말라”고도 했다. 법무부 장관 출신이 여야 합의로 만든 국회 선진화법의 정신을 깡그리 무시하는 발언이다. 대신 황 대표는 “검찰은 내 목을 치고 거기서 멈춰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누가 봐도 연출된 검찰 출두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황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는 현재 위기에 처했다. 오히려 패스트트랙 처리 과정에서 동료 의원들과 당직자, 보좌진들을 총동원해놓고 막상 수사가 시작되니 무대책이었다. 결국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고 지도부에 대한 당내 불만이 팽배해지자 황교안-나경원 검찰 자진출두라는 카드를 꺼내 든 셈이다. 말이 자진출두지 고발된 의원들의 반강제적 압박속에 이뤄진 게 아니냐는 의심마저 든다.
왜냐하면 이미 검찰은 한국당 의원 20명에에 출석 요구서를 보냈고 황 대표의 자진출두와는 별개로 소환해 조사할 수밖에 없다. 정치적 딜로 해결될 수도 없는 사안이다. 여당이 고발을 취하해도 수사는 계속된다. 황 대표에 이어 나 원내대표가 검찰에 자진출두해 ‘내 목을 쳐라’해도 결론은 같을 수밖에 없다.
국회 선진화법이 얼마나 서슬이 퍼런 법인줄 법무부장관 출신인 황 대표와 판사 출신인 나 원내대표가 몰랐을까. 몰랐다면 당 지도부로서 리더십에 문제가 있고 알고 있었다면 총선에서 인적청산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려고 했다는 것인데 이 또한 당 지도부로서 책임을 면하기 쉽지 않다.
패스트트랙-조국 정국속에서 보여준 것이 컨텐츠보다는 투쟁일변도에 막말 정치로 인해 당 내부로부터 리더십에 의심을 받고 있다. 10.3 개천절 광화문에 개최된 문재인 정권 심판을 위한 보수 총궐기 대회가 대규모로 치러져 당분간 약발은 먹히겠지만 그렇다고 한국당을 대안세력으로 보는 것으로 생각한다면 착각이다. 머리카락은 자라고 검찰 수사는 계속된다. 삭발도 자진출두도 진정성보다 정치적 쇼로 보이는 이유다. 오히려 김무성 의원의 지적처럼 ‘최후의 수단을 준비해야 할 때’일 줄도 모른다. 그것이 의원직 총사퇴라고 할지라도...
※ 외부 필자의 기고는 <폴리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윤진 기자] “제공 데이터 소진시 1Mbps 제어 데이터 무제한” “클라우드 게이밍 권장 속도 20Mbps" 최근 동영상, 게임 등 스트리밍 서비스가 유행하면서 ‘bps'라는 통신용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생소한 용어인데, 무슨 뜻일까요? ‘bps’란 ‘bits per second’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속도’의 단위입니다. 1Mbps, 20Mbps 등에서 앞의 숫자는 1초 동안 송수신할 수 있는 bit(비트) 수를 말합니다. 1Kbps는 1000bps, 1Mbps는 1000Kbps, 1Gbps는 1000Mbps로 환산됩니다. 여기에 낯익은 용어인 컴퓨터 정보 처리 단위 ‘byte'를 대응해봅니다. 1bps는 컴퓨터 정보 처리 단위와 대응하면 8byte가 됩니다. 즉, 1Mbps 속도로는 1초당 0.125MB, 1Gbps 속도로는 1초당 125MB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셈입니다. 그래도 어렵다고요? 그렇다면 이번엔 bps가 생활 속에 어떻게 녹아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신의 스마트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1Mbps라면, 텍스트 위주의 카카오톡이나 웹서핑은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3Mbps라면 SD(640x480) 화질의 동
[사진1] “청년 취향을 저격하겠다“ 황교안, 30여 명 ‘청년 공감단’ 마주해 미팅 최근 정치 행보에 대한 쓴소리 나와 [사진2] ‘페어플레이 대한민국’ 황교안 “당 윤리위 규정에 채용비리 범죄 명시” “친인척 채용‧입시비리 밝혀지면 당 공천에서 배제“ [사진3] 황교안 면전에 쏟아진 청년들 비판 ”‘갑질 논란’ 박찬주 대장 영입, 청년의 신뢰 잃는 행보“ ”청년이 관심 가질만한 정책에 집중해야“ [사진4] ”오후 2시, 정상적으로 사회생활 하는 청년들은 못 와” “금수저 청년들만 청년으로 생각하나“ 황교안 ”날카로운 말씀 잘 들었다“ [사진5] ‘샤이(shy)보수가 아니라 셰임(shame)보수’ ”한국당 하면 ‘노땅 정당’ 떠올라“ 비판 사항 수첩에 받아적은 황교안 [사진6] 한국당 공식 유튜브, 청년들 쓴소리 빠져 문재인 정부 비판 청년 목소리만 실려 황교안식 ‘불통’…누리꾼 ”듣고 싶은 말만 듣는다“ [사진7] ‘팬미팅’ 소리 나온 文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와 달리 누리꾼 ”직언하는 청년들 있어 희망 보인다“ 쇼(show)통 논란은 종식 [사진8] 굳은 표정으로 행사장 떠난 황교안 청년과의 토론 없이, 의견 청취 후 마무리 발언만 쇼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