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어떤 권력도 국민 위에 군림할 수 없다" "피해자에 국가폭력 사과"
"부마항쟁 가해자 책임소재 밝힐 것" "진상규명·명예회복 약속"

1979년 마산역 앞에서 시위대와 계엄군이 충돌하고 있다<사진 제공=연합뉴스>
▲ 1979년 마산역 앞에서 시위대와 계엄군이 충돌하고 있다<사진 제공=연합뉴스>

 

"유신정권 물러가라 정치탄압 중단하라"

16일 오전 자유를 위한 함성이 울려 펴졌던 곳, 마산지역 항쟁 발원지 경남대학교에서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이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유신독재로 인한 희생자들에게 대통령으로서 사과한다"며 "4·19 혁명, 부마민주항쟁, 5·18 광주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과 2016년 촛불혁명까지 우리에게 민주항쟁의 위대한 역사가 있는 한 어떤 권력도 국민 위에 군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4일, 발발 40년 만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부마민주항쟁의 첫 번째 정부 주관 기념식이다.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부마민주항쟁의 정신을 전 국민에게 알리는 상징적인 행사로 진행됐다.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참석한 가운데 16일 열린 기념식에는 당시 민주선언문을 작성했던 이진걸 씨 등 항쟁 참여자와 가족을 비롯해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송기인 이사장, 김경수 경남도지사, 오거돈 부산시장, 허성무 창원시장과 시민․학생 등 3,000여 명이 참석했다.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후 처음 열린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이 16일 창원시 소재 경남대학교에서 열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기념일 지정 첫 기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사진 제공=경남도>
▲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후 처음 열린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이 16일 창원시 소재 경남대학교에서 열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기념일 지정 첫 기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사진 제공=경남도>


'1979-2019, 우리들의 부마'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기념식은 1979년 부마민주항쟁의 역사적 의미를 기억하고 부마를 넘어 광주, 그리고 촛불까지 이어진 민주여정에 대한 대화합의 장으로 진행됐다.

기념 영상, ‘그날의 부마’ 재연극, 기념시 낭송, '우리의 소원‘ 제창 등의 순서가 준비됐으며, 당시 시위대가 가장 많이 불렀던 애국가를 항쟁 참여자와 가족이 제창해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했던 숭고한 정신을 되새기고 행사의 피날레는 부마민주항쟁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꾸며졌다. 

김경수 지사는 지난 8일 부산국제영화제 ‘리멤버 부마’ 세션 토크콘서트에서 "지난날, 광주민주화운동의 아픔이 너무 커서 그 진실을 알리기에도 벅찼던 시기라 부마항쟁을 미처 돌보지 못한 면이 있다"며 "40년 만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만큼 국민들에게 부마민주항쟁의 의미를 되새기고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날 저녁에는 경남대학교와 부산대학교 교정에서 동시에 기념 음악회가 펼쳐졌고 기념식과 음악회는 지상파 등 방송을 통해 생중계됐다.

이날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마산 민주항쟁의 발원지였던 바로 이곳 경남대학교 교정에서 창원과 부산, 경남 모두의 마음을 모은 통합 기념식을 치르게 되어 더욱 뜻깊다"고 밝혔다. 이어 부마민주항쟁 피해자와 유가족에게 사과했다. 국가폭력 가해자들의 책임 소재를 규명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나중에 청와대 한정우 부대변인은 "현직 대통령이 부마항쟁 피해자에게 사과한 것은 처음이다. 기념식 참석도 처음"이라고 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지난 10월, 고 유치준 님이 40년이 지나서야 부마민주항쟁 관련 사망자로 공식 인정됐다. 그동안 국가가 피해자들의 고통을 돌보지 못했던 시간이 너무 길었다. 유가족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리며, 유신독재의 가혹한 폭력으로 인권을 유린당한 피해자들 모두에게 대통령으로서 깊은 위로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특히 당시 경남대 재학생으로 부마항쟁에 참여했던 옥정애 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위 위원의 딸인 이용빈 씨가 무대에 올라 엄마에게 전한 이야기는 보는 이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그러면서 진상규명과 부마민주항쟁의 정신 계승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부마민주항쟁의 진상규명과 피해자들의 명예회복, 보상에 더욱 힘을 쏟겠다. 숫자로만 남아있는 항쟁의 주역들과 피해자들이 자신의 이름을 찾고 명예를 회복하도록 할 것이며, 국가폭력 가해자들의 책임 소재도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창원 민주주의 전당, 부산 민주공원 기록관 건립으로 시민이 일상에서 항쟁의 역사를 보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도 했다. 이와 함께 국회에 계류 중인 부마민주항쟁의 진상조사 기간 연장과 관련자 예우에 대한 법률 제·개정안의 조속한 통과 노력도 이어갈 것임을 밝혔다.

특히 기념사 끝에 검찰을 비롯한 권력기관 개혁 의지도 거듭 밝힌 점이 인상적이었다.

문 대통령은 "4·19혁명, 부마민주항쟁, 5·18광주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과 2016년 촛불혁명에 이르기까지 우리에게 민주항쟁의 위대한 역사가 있는 한, 어떤 권력도 국민 위에 군림할 수 없다. 지금 국민은 더 많은 민주주의와 더 좋은 민주주의를 요구하고 있다"며 "모든 권력기관은 조직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국민을 위해서 존재한다는, 민주주의 상식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