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중 다리가 과하게 비틀리는 상황에서 무릎에 강한 자극이 주어지며 관절을 잇고 있는 전방십자인대가 끊어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무릎에서 ‘뚝’ 하는 파열음과 함께 통증이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며 통증이 점차 감소하여 일시적인 타박상으로 오해하고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전방십자인대파열을 장기간 방치하는 것은 관절에 과부하를 일으켜 연골손상 및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전방십자인대의 경미한 파열은 약물 및 주사, 보조기착용,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의 다양한 보존적 치료로 호전이 가능하지만 전방십자인대 중 절반 이상에서 파열이 발생했거나 인대가 완전히 끊어진 경우에는 정상적인 인대를 이식하는 인대 재건수술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인대 재건수술을 했다고 해서 전방십자인대재파열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재건술 이후에 무리한 운동, 빠른 운동복귀, 재활치료 부족, 혈액순환 장애, 부상 등의 원인으로 전방십자인대재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오래 방치된 만성 전방십자인대파열은 인대 재건수술을 하더라도 다시 재수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재재건술의 경우 사전에 꼼꼼한 이학적 검사 및 MRI 판독이 이뤄져야 하며, 수술 시에는 일괄적인 방법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의료진의 충분한 경험이 요구된다.   

전방십자인대파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 전 충분한 준비운동이 필요하며, 무릎 부상 이후 통증 및 이상증세가 느껴진다면 늦지 않게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전방십자인대재파열은 처음 다칠때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전방십자인대가 내부 조직들로부터 서서히 압박을 받으면서 조금씩 손상되어 결국 제기능을 못하게 되는 사례가 흔하다. 이런 경우 반월상연골파열과 같은 동반손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재재건술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 의료진의 풍부한 수술경험이 뒷받침돼야 하므로 병원 선택에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한다.

글: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