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9 민주당 당 대표 결과는 한 마디로 ‘주류의 힘’을 제대로 보여준 전당대회였다. 결과가 말해주듯 친문 주류가 지지한 이낙연 신임 당대표가 커다란 격차로 승리했다. 2위를 노리던 김부겸 전 의원은 ‘머쓱’하게 됐고 뒤늦게 뛰어든 박주민 의원은 ‘으쓱’하게 됐다. 그리고 또 한 사람 당혹스러운 전대 밖의 인사가 있다. 바로 이재명 경기도지사다.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에서 1위 자리를 두고 엎치락뒤치락했던 이 지사 입장에서 이번 전당대회 결과는 만족스러울리 없다.
일단 당 대표 선거 결과가 이를 반증한다. 이번 선거에는 전국 대의원 총 선거인 수 1만6270명 중 1만5081명(투표율 92.69%), 권리당원 총 선거인수 79만6886명 중 32만6973명(투표율 41.03%)이 참여했으며, 민주당은 전국대의원(45%), 권리당원(40%) 온라인·ARS 투표와 일반 당원(5%), 국민(10%) 여론조사 결과를 반영한 최종 득표율로 지도부를 선출했다.
이 대표는 대의원과 권리당원 및 국민·당원 여론조사에서 모두 과반 이상의 득표율을 얻은 것으로 집계됐다. 대의원 득표율은 57.20%(8627명)이었고 권리당원 득표율은 63.73%(20만8375명)로 조사됐다. 국민 여론조사와 당원 여론조사에서도 각각 64.02%, 62.80%의 과반 이상의 지지를 얻었다.
김부겸 전 의원은 29.29%(4,417명)의 대의원 득표율을 얻으나 권리당원 투표에서는 14.76%(4만8,277명), 국민 및 당원 여론조사에서는 각각 13.85%, 18.05%에 그쳤다. 반면 박 후보는 대의원 득표율은 13.51%(2,037명)로 낮았지만 권리당원 득표율 21.51%(7만3,021명), 국민 및 당원 여론조사 각각 22.14%, 당 19.15%로 비교적 선전했다. 결과적으로 이 대표는 60.77%의 총 득표율을 기록 과반을 훌쩍 넘었고, 김 후보는 21.37%, 박 후보는 17.85% 득표율을 얻었다.
3명이 당 대표 선거에 나와 한 명이 60%대 이상 받은 당 대표 후보는 역대 전대에서 찾기 힘들다. 이해찬 전 총리가 출마한 지난 당 대표 경선에서 유력한 경쟁자가 없었던 그였지만 총 득표율 42.88%에 그쳤다. 이낙연 대표는 대의원을 비롯해 친문성향의 당원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은 셈이다. 하지만 여권 내에서는 이번 지지가 오히려 이 대표의 대권가도에 ‘독’이 될 수 있을 것이란 우려감도 나온다.
즉, 다음 대통령 후보 당내 경선 전 친문 주류의 힘을 보여준 셈인데, 향후 청와대나 친문의 뜻에 거스를 경우 차기 대권은 없다는 무서운 경고로 받아들일 수 있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이 대표는 차기 대권레이스에서 유력한 경쟁자인 이재명 지사에게 최근 두 차례나 1위 자리를 빼앗긴 절박한 상황이었다.
전대에서 50% 미만 지지를 받았다면 데드크로스를 맞이해 2위로 추락할 수도 있었다. 친문 주류가 위기의 이낙연을 압도적 지지로 살려준 셈이다. 이는 이 대표가 향후 대통령과 차별화를 꾀하거나 쓴소리를 못 하는 운명에 처할 공산이 높게 됐다.
또한 친문 주류는 이재명 지사에게도 명확한 경고장을 날렸다. 이 지사가 아무리 정책과 현안에서 승부사적 기질을 보인다 해도 당내 대통령 후보 경선을 치루기 위해선 친문 주류의 도움 없이는 안 된다는 점을 확실하게 보여줬기 때문이다. 특히 김부겸 전 의원이 예상보다 조직표인 대의원·당원에서 표를 적게 받은 이유가 이재명 측 인사들이 김부겸 캠프를 간접 지원한 게 한몫했다는 평가도 나올 정도다.
한편 친문주류의 ‘인물 부재’의 한계도 노출된 전대라는 시각도 있다. 기본적으로 친문주류에서는 ‘호남 후보 필패론’이 자리 잡고 있고, 영남 후보를 기대하고 있는데 경북 안동 출신의 이 지사는 ‘신뢰의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결국 이낙연, 이재명 두 인사 모두 친문 주류입장에서 성에 차지 않은 고심을 그대로 보여준 전대인 셈이다.
※ 외부 필자의 기고는 <폴리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코로나는 인류에게 공통의 시험문제를 주었다. 新문명의 주인공, 누가 될 것인가? 코로나가 던지는 질문: 인간이란 무엇인가? 마스크 없이 사는 세계 최초의 나라 한국판 뉴딜 전략 삶의 질 1등 국가 -내 삶을 바꾸는 뉴딜, 내 지역을 바꾸는 뉴딜, 한반도의 미래를 바꾸는 뉴딜 새로운 나라, 문명 창조 국가 한국판 뉴딜 자신감을 갖자 변방의 진(秦)은 중국을 창조 후진국 반도국가 그리스는 서양의 기원을 잉태 저지대의 작은 땅 네덜란드, 자본주의와 근대 서양의 시작 한국판 뉴딜로 진화하자 호모 사피엔스(“지혜로운 인간”) 한국판 뉴딜 성공한다면 싱가포르식 선진 시스템 도입 ⇒ 한국 경제규모 3조6천억 달러 실리콘밸리식 혁신 경제 ⇒ 한국 경제규모 6조 달러(세계 3위) 네덜란드식 스마트 팜 ⇒ 한국 농촌 세계 농업 수출 확대 데이터 댐을 통한 국민 건강 부문의 변화 디지털 집현전: 공공도서관을 학교, 마을, 국민들에게 자료의 신속한 디지털화 국가전자도서관의 고도화 → 체계적인 통합 전자도서관 구축 교육판 넷플릭스의 창조 한국판 뉴딜에 대한 우려① 너무 성급한 것 아닌가 -거대한 정책들이 성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발전과 진화의 시간 필요(약 5~10년) · 루즈벨트의
일상생활에서 5가지 전파위우험 조건에 유의하여 코로나19를 예방하는 방법 계속되는 코로나19 확산세에도 끝까지 방역에 참여하는 시민 여러분! 마스크 착용 유무, 접촉 시간, 환기 상태, 밀집도, 비말 발생 여건 등 5가지 전파위험 조건에 유의하여 일상생활에서 코로나19를 예방합시다. 1. 혼잡한 지하철에서 전화 통화하기 마스크 착용시 : 높음 마스크 미착용시 : 높음 2. 창문을 열어 둔 승용차에서 대화하기 마스크 착용시 : 낮음 마스크 미착용시 : 중간 3. 학교 교실에서 질문에 답하며 수업하기 마스크 착용시 : 중간 마스크 미착용시 : 높음 4. 야외카페에서 차 마시며 대화하기 마스크 착용시 : 낮음 마스크 미착용시 : 중간 5. 사람이 많은 극장에서 영화관람하기 마스크 착용시 : 높음 마스크 미착용시 : 높음 -서울시 공공보건의료재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