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과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올해 3월 16일부터 공매도가 금지된 이후 8월 말까지 기관투자자는 일평균 204억 원씩 공매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광온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공매도 금지 후 주식시장 공매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16일부터 8월 말까지 투자자 주체별(개인, 기관, 외국인) 공매도는 기관투자자가 100%이며 일평균 공매도 금액은 204억 원으로 집계됐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주식을 일단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내려가면 주식을 사서 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실현하는 투자기법이다.

개인 투자자와 비교해 정보 접근성과 자본 동원력이 월등한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에 유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지적과 함께 공매도가 주가 하락을 부추긴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3월 13일 임시금융위원회를 개최해 3월 16일부터 9월 15일까지 6개월간 유가증권·코스닥·코넥스시장 전체 상장종목에 대한 공매도를 금지했으며, 8월 27일 임시금융위원회에서는 내년 3월 15일까지 공매도 금지 기간을 6개월 더 연장했다.

하지만 시장조성자는 공매도 금지의 예외로 뒀다. 시장조성자는 유동성이 부족한 종목에 매도·매수 호가를 내 거래가 원활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유가증권시장·코스닥은 12개 국내 증권사들이 시장조성자로 활동 중이다.

공매도 금지기간 중 기관의 공매도 상위 종목을 살펴보면 1위는 삼성전자로 일평균 26.3억 원이며 씨젠 24억 원, 카카오 10.9억 원, 셀트리온 9.4억 원, 셀트리온헬스케어 5.2억 원, SK하이닉스 3.7억 원, 아모레퍼시픽 3.5억 원, 삼성SDI 3.4억 원, 두산인프라코어 3.3억 원, SK 3.2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해 1월 1일부터 공매도 금지 전(3월 15일)까지 50영업일 동안 일평균 공매도 금액은 6542억 원으로 집계됐다. 외국인이 3604억 원(55.1%), 기관이 2860억 원(43.7%), 개인이 78억 원(1.2%) 공매도했다.

이 기간 동안 공매도 상위 종목은 삼성전자가 일평균 575.1억 원으로 1위이며 아모레퍼시픽 183.3억 원, LG화학 168.6억 원, 셀트리온 148.7억 원, SK하이닉스 131.0억 원, 삼성전기 121.5억 원, POSCO 100.7억 원, 셀트리온헬스케어 98.8억 원, SK이노베이션 93.1억 원, 삼성SDI 92.4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