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언론의 실종 공무원 사건 보도 우려, 남북 냉전과 대결구도 회귀 주장 서슴지 않아”

[폴리뉴스 정찬 기자] 청와대는 야당 의원들이 지난 23일 새벽 긴급 안보관계장관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 유엔총회 연설에 문제를 제기했다는 주장에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아울러 청와대는 일부언론을 향해 “남북이 냉전과 대결구도로 되돌아가야한다는 것 같은 주장이 서슴지 않고 고개를 들고 있는 것이 우려스럽다”며 보도행태를 비판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29일 오전 국민의힘 정진석 의원이 전날 의원총회에서 “23일 새벽에 열린 긴급 안보관계장관회의에서 유엔연설 문제제기가 나왔다”며 “종전선언 연설 영향 안주려 대통령에 일부러 보고 안한 것”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 근거 없는 무책임한 주장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한편 강 대변인은 전날 서면브리핑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사과가 담긴 통지문에 대한 언론보도에 대해 “<만행이라더니...김정은 ‘미안’한마디에 반색하고 나선 文정부(조선일보, 9월26일자1면)> 이와 유사한 국내언론의 보도가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외신은 ‘북한 지도자가 특정 이슈에 관해 남측에 사과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extremely unusual)’이라고 보도했고,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는 도움되는 조치’라고 평가했을 정도”라며 “<뉴욕타임스>가 ‘이번 사과가 남북관계의 또 다른 심각한 위기가 될 수도 있었던 일을 막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하는 등 유사한 외신보도가 잇따랐다”고 외신보도 내용을 전하며 일부 보수언론에 문제를 제기했다.

강 대변인은 이에 지난 2015년 8월4일 ‘목함지뢰’ 도발 사건 때 북한 군이 20여일 뒤 ‘유감 표명’을 했을 당시 보도된 주요 기사 제목들을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 “사과”란 말 한적 없던 北, 이번엔 명확하게 “유감 표명하겠다”(조선일보)
- 南北 일촉즉발 위기 속, 朴대통령 ‘원칙 고수’ 승부수 통했다(조선일보)
- 북 “지뢰폭발로 남측 군인 부상 유감”…북한 주어로 명시 유감은 처음(중앙일보)
- 대화와 타협이 남북한 파국 막았다(중앙일보 사설)

그러면서 “북한 최고지도자의 사과 정도가 아니라 공동보도문에 ‘유감’이란 단어가 들어가자 당시 언론이 내린 평가였다”고 박근혜 정부 때 기사 논조와 문재인 정부 때와의 기사 논고 간의 차이를 짚었다.

강 대변인은 또 “지난 25일 긴급안보관계장관 회의서 북한의 사과통지문을 ‘긍정평가’하고 남북공동조사와 통신선 복구를 제안한 것에 대해서도 깎아내리고 비난하는 보도가 다수 있었다”며 “긴급안보관계장관회의와 관련해 안토니우 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이 ‘투명한 진상조사를 촉구’하며 ‘남북한이 국경의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쌓기 위해 2018년 평양선언과 남북군사합의 정신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음을 알려드린다”고 얘기했다.

강 대변인은 이에 “언론 탓을 하려는 게 아니다. 남북이 냉전과 대결구도로 되돌아가야한다는 것 같은 주장이 서슴지 않고 고개를 들고 있는 것이 우려스러워서다”며 “어떤 언론은 대통령이 북한 통지문 수령 후 시행한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평화’를 몇 번 언급했는지까지 세어서 비난했다. 해당연설은 물론 이미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그 어떤 행위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응할 것임을 국민께 약속했는데도 말이다”고 지적했다.

또 강 대변인은 “‘대통령의 시간’은 너무 일러서도 안 되며, 너무 늦어서도 안 되는, 단 한 번의 단호한 결정을 위한 고심의 시간”이라며 “어업지도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문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 공식 입장을 표명하고, 관련한 회의를 주재하는 일련의 과정은 바로 한반도의 위기관리를 위한 시간이었다”이라고 말했다.

실종 공무원이 북한 군에 의해 불에 탔다는 판단과 관련 “우리 군의 코앞에서 일어난 일처럼, 망원경으로 들여다보고 있었던 것처럼 간주하고 비판보도를 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우리 바다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북한 해역, 우리가 볼 수 없고 들어갈 수도 없는 곳에서 일어난 사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 해역에서 불꽃이 감시장비에 관측됐다는 것 외에 아무 것도 없는 상황이었다. 전화 통화하듯이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던 것도 아니다. 단지 토막토막의 ‘첩보’만이 존재했던 상황”이라며 “북한 군이 실종 공무원을 사살한 뒤 불로 태워 시신을 훼손했다는 첩보를 접했을 때 확인이 먼저임은 불문가지다. 이런 상황에서 취했던 일을 청와대는 이미 있는 그대로 상세하게 공개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계장관) 심야회의는 새벽 2시30분 끝났고, 사실로 확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6시간 뒤 대통령께 정식보고 됐으며, 대통령은 첩보 또는 정보의 정확성과 이를 토대로 한 사실 추정의 신빙성을 재확인하고, 사실로 판단될 경우 국민들에게 그대로 밝히고 북한에도 필요한 절차를 구할 것을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강 대변인은 이러한 판단을 국민에게 공개하기까지 과정에 대해 “대통령에 따르면 ‘사안이 너무도 중차대’했다. ‘거듭거듭 신뢰성이 있는 건지, 사실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건지’ 확인이 필요했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