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정찬 기자] 4.7 부산시장 보궐선거 70여 일을 앞두고 실시한 부산시민의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에 비해 높게 조사됐지만 더불어민주당 지지율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했다.
폴리뉴스와 KNA 공동 의뢰로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길리서치>가 지난 17~18일 이틀 동안 실시한 조사결과 문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평가는 34.1%(아주 잘한다 15.0%, 다소 잘한다. 19.1%)였고 부정평가는 63.0%(다소 잘못한다 15.8%, 아주 잘못한다 47.2%)로 집계됐다(잘모름/무응답 2.8%).
부정평가가 긍정평가에 비해 28.9%P 높다. 특히 적극 부정평가가 50%에 육박하고 있어 문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강도가 강함을 알 수 있다. 성별로 남성(긍정32.0% 대 부정 67.2%)이 여성(36.2% 대 59.2%)에 비해 부정평가가 높게 집계됐다.
연령별로 18~20대(긍정 34.2% 대 부정 62.3%), 30대(34.7% 대 62.9%), 40대(40.2% 대 55.1%), 50대(36.6% 대 62.3%), 60대 이상(29.2% 대 68.2%) 등 모든 연령층에서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지지정당별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76.2%가 문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국민의힘 지지층의 93.4%는 문 대통령 국정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무당층에서도 부정평가가 73.9%로 다수였다. 정치성향별로 보수층의 79.2%가 부정적으로 평가했고 진보층의 62.7%는 문 대통령 국정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중도층에서는 부정평가가 70.2%로 긍정평가(28.4%)에 비해 높았다.
민주당 30.2%, 국민의힘 28.6%, 국민의당 4%, 정의당 3.8%...무당층 27.9%
정당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30.2%, 국민의힘 28.6%, 국민의당 4.0%, 정의당 3.8%, 열린민주당 1.4% 등이었다(기타 정당 3.0%, 지지정당 없다 27.9%, 잘모름/무응답 1.1%). 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 지지율 격차는 1.6%P로 우열을 가리기 어려웠다.
양당 지지율을 연령별로 보면 18~20대(민주당 28.2% 대 국민의힘 19.8%), 30대(37.6% 대 16.9%), 40대(33.4% 대 21.5%), 50대(33.6% 대 25.9%) 등에서는 민주당이 우위를 보인 반면 60대 이상(24.2% 대 43.7%)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에 앞섰다.
4.7보선을 앞두고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엇비슷하지만 지지정당이 없다는 무당층( 27.9%)에서 문 대통령 국정운영 부정평가층이 73.9%에 달하고 있어 이본 보선에서 여권에게 유리한 선거지형이 형성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번 조사는 지난 17~18일 이틀 동안 성/연령/지역별 할당 무작위 추출한 부산시 거주 18세 이상 유권자 800명을 대상으로 유선전화면접(27%)과 무선전화 가상번호 ARS방식(73%)을 병행해 실시했다. 2020년 11월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로 가중값 부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P이며 응답률은 12.3%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청와대를 출입하면서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등의 현안을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최근 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최근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쿠팡이 유료 회원이 아니어도 무료 로켓배송을 하겠다며 먼저 경쟁 신호탄을 쏘았습니다. 배송비 면제로 사실상 최저가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이마트는 쿠팡과 롯데마트몰, 홈플러스몰보다 구매 상품이 비싸면 그 차액을 자사 포인트로 적립해준다며 응수했습니다. 롯데마트도 맞불을 놨습니다. 이마트가 최저가를 선언한 생필품 500개 품목을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 포인트도 5배 더 줍니다. 마켓컬리도 과일, 채소 등 60여종의 신선식품을1년 내내 최저가에 판매한다며 전쟁에 참가했습니다. 이에 질새라 편의점까지 가세했습니다. CU와 GS25는 6종의 친환경 채소를 대형 마트보다 싸게 판매합니다. 업계는 이를 통해 마케팅은 물론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유도효과도노리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보상받은 차액 ‘e머니’는 오프라인에서 쓸 수 있고,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 살 깎아먹기식 출혈경쟁은 결국납품업체로 부담이 전가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