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정찬 기자] 국민 10명 중 7명 가까이가 한국방송공사(KBS)가 공영방송으로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가운데 KBS 수신료 인상에 대해 국민 10명 9명 정도가 반대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폴리뉴스> 의뢰로 여론조사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9일 실시한 조사에서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그렇다(동의)’는 의견은 27.3%였고 ‘그렇지 않다(비동의)’는 의견은 68.8%에 달했다(잘 모름 3.9%).
성별로는 남성(동의 29.7% 대 비동의 68.2%), 여성(25.0% 대 69.3%) 모두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제 역할을 못한다고 평가했다. 연령별로는 ‘동의’ 답변은 70대 이상(37.1%)에서 가장 높았고 60대(35.5%), 50대(30.8%) 순이었다. 반면 ‘비동의’ 응답은 20대(78.9%)에서 가장 높았고 30대(76.0%), 40대(73.2%) 순이었다.
권역별로 ‘동의’ 답변은 인천/경기(31.0%)에서 가장 높았고 서울(30.3%)도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대구/경북(80.6%)에서 가장 높았고 광주/전남/전북(78.1%), 대전/세종/충남/충북(77.6%)에서 높았다.
이념성향별로는 ‘동의’ 답변은 보수(30.3%)와 진보(28.1%)에서 비슷했고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보수(68.8%)와 진보(67.5%)가 비슷했다.
수신료 폐지해야 44.2%-현행수준 유지해야 32%-인하해야 15.6%...인상 찬성 7.1% 불과
KBS가 2,500원에서 3,840원으로 수신료 인상을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한 생각을 물었다는 불과 7.1%만이 ‘수신료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고 ‘수신료를 폐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44.2%, ‘수신료를 현행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32.0%, ‘인하해야 한다’는 의견도 15.6%로 집계됐다(잘 모름 1.2%.
수신료 폐지, 인하, 현행수준 유지 등 수수료 인상에 대한 반대 의견이 90%가 넘었다. 연령별로는 수신료를 폐지해야 한다고 답변은 40대(60.8%)에서 가장 높았고 30대(58.7%), 60대(44.9%) 순이었다. ‘현행수준 유지’ 응답은 70대 이상(54.8%)에서 가장 높게 조사됐고 ‘수신료를 인하해야 한다’는 답변은 20대(21.1%)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집계됐다. ‘수신료를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은 70대(11.3%)에서 가장 높았다.
권역별로 수신료를 폐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대구/경북(58.3%)이 가장 높았고 현행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답변한 지역은 인천/경기(36.2%)에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수신료를 인하해야 한다는 답변은 광주/전남/전북(28.1%)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념적인 성향별로는 수신료를 폐지해야 한다고 답변한 층은 보수가 51.4%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중도 45.0%, 진보 38.6% 순이었다. 현행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답변한 층은 중도 32.5%, 진보 31.6%, 보수 27.5% 순이었다. 수신료를 인하해야 한다고 답변한 층은 진보가 20.2%로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503명을 대상으로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무선 100%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됐다. 통계보정은 2020년 12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림가중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37%p이며 응답률은 11.86%다.
청와대를 출입하면서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등의 현안을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유통 공룡 신세계가 프로야구에 뛰어는 이유는?
[폴리뉴스 이민호 기자]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월 1일 부산을 방문해 "가덕도 신공항 사업 지지 의사를 밝히며, 가덕도와 일본 규슈 잇는 한일 해저터널 건설을 적극 검토한다”고 말해 화제가 됐다. 한일 해저터널은 1981년 문선명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 총재가 주창했다. 문 총재는 한일 해저터널을 연결해 아시아와 유럽을 고속교통망(크기 강조)으로 연결하는 '국제 하이웨이 한일터널 구상’을 제시했다. 1993년 한일협력위원회는 해저터널 개발에 대한 공동연구를 위해 실무위원회 설치 등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이후 1999년김대중 대통령은 오부치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에서 "유럽까지 연결되니 미래의 꿈으로 생각해 볼 문제"라고 말했다. 부산발전연구원안은 가덕도 → 대마도 → 이키섬 → 후쿠오카 구간으로 총연장 210km 해저거리 147km, 공사기간은 10년을 바라보고 있다. 한국이 3분의 1 구간 공사를 담당하면 총 단일터널 기준 30조원, 복수터널 기준 70조원의 공사 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터널 건설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지반정보 등 '정밀조사' → 구체적인 설계인 '실시 설계' → 본격적으로 터널 '시공' 절차 밟는다. 터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