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정찬 기자]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는 금고 이상의 형을 받으면 의사 면허를 취소하는 의료법 개정안에 대해 국민 10명 중 7명 가까이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4일 밝혔다.
<오마이뉴스> 의뢰로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최근 의사가 범죄를 저질러 금고 이상의 형을 받으면 의사면허를 일정 기간 취소하는 내용의 의료법 개정안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었더니 ‘찬성’ 응답이 68.5%(매우 찬성 50.1%, 어느 정도 찬성 18.4%)였고 ‘반대’ 의견은 26.0%(매우 반대 12.1%, 어느 정도 반대 13.9%)로 집계됐다(잘 모르겠다 5.5%).
의료법 개정안에 대한 ‘찬성’ 의견은 광주/전라(찬성 79.3% vs. 반대 15.8%)에서 가장 높았고 대전/세종/충청(77.5% vs. 17.8%)과 인천/경기(72.5% vs. 22.9%) 등에서e 70%대였다. 부산/울산/경남(64.4% vs. 27.7%), 서울(60.6% vs. 34.4%), 대구/경북(57.1% vs. 37.5%) 등 순으로 찬성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에서는 ‘찬성’ 85.6% vs. ‘반대’ 11.7%로 다른 연령대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매우 찬성한다’ 70.2%, ‘어느 정도 찬성한다’ 15.3%로 적극 긍정 응답 비율이 전체 평균 대비 높았다.
이어 50대(찬성 73.2% vs. 반대 25.3%)와 30대(71.4% vs. 25.3%), 20대(57.9% vs. 35.4%), 60대(55.6% vs. 39.1%) 순으로 찬성 응답 비율이 높았다. 70세 이상에서는 ‘찬성’ 62.8% vs. ‘반대’ 20.1%로 반대 대비 찬성이 많았으나 ‘잘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응답이 17.1%로 전체 평균 대비 많았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성향자(찬성 87.9% vs. 반대 8.3%), 중도성향(69.8% vs. 25.6%)에서는 반대 대비 찬성이 우세한 반면, 보수성향자에서는 ‘찬성’ 52.3% vs. ‘반대’ 44.6%로 찬반이 팽팽했다.
지지정당별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89.9%가 찬성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51.6%가 반대했다. 세부적으로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매우 찬성’ 74.2%, ‘어느 정도 찬성’ 15.7%로 적극 찬성 비율이 높았고 국민의힘에서는 ‘매우 반대’ 29.9%, ‘어느 정도 반대’ 21.7%로 조사됐다. 무당층은 ‘찬성’ 68.3% vs. ‘반대’ 26.0%로 찬성이 우세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무선(80%)·유선(20%)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다. 응답률은 6.1%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청와대를 출입하면서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등의 현안을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은 금융위의 ‘빅브라더 법'(2월 17일 한국은행 입장자료)”.“지나친 과장에 화나. 그렇게 따지면 한은도 빅브라더(2월 19일 은성수 금융위원장)”. 국회 통과를 앞둔 전금법 개정안을 둘러싸고, 한은과 금융위가 충돌하고 있습니다. 전금법 개정안은 국회 정무위원장인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11월 27일 대표 발의했습니다. 전자지급거래청산업 제도화, 빅테크 외부청산 의무화, 오픈뱅킹 제도화 등과 관련된 법안입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네이버·카카오페이 등 빅테크 기업이 제공하는 금융거래도 지급결제청산기관인 금융결제원을 거쳐야 하며, 이를 금융위가 감독할 수 있습니다. 한은은 이 부분을 두고 ‘금융위의 빅브라더 수단’이라며 강하게 비판합니다. 빅테크 기업의 모든 거래정보를 금융위가 제한 없이 수집할 수 있게 되면 개인 정보를 침해하게 된다는 주장입니다. 반면 금융위는 만약의 금융사고에 대비한 피해자 보호 차원이라는 입장입니다. 사고가 날 경우 법원의 영장을 받는 등 제한적인 경우에만 거래정보 조회가 가능하지, 매일 CCTV보듯 들여다보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우리가 하는 자금이체 정보도 금
현대자동차가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첫 번째 모델인 ‘아이오닉 5(IONIQ 5)’ 공개를 앞두고 있는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