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김현우 기자] 미국, 영국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선진국은 당장 올해 2분기부터 경기회복세에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신흥국은 빨라야 올해 말부터 경기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면서 백신 불평등이란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은행(한은)은 7일 ‘코로나19 백신 보급과 글로벌 경기회복 향방‘ 보고서를 냈다. 내용을 보면, 선진국은 코로나19 백신을 우선 접종하면서 올해 2분기를 기점으로 경기회복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신흥국은 내년 중반 이후에나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회복 속도는 집단면역 형성에 따라 달라진다. 전문가에 따르면 집단면역은 국가별 인구 중 최소 60% 이상이 백신 접종을 마치면, 감염병의 전파를 늦추거나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렇듯 집단면역이 형성돼야 관광 등 사람의 국가 간 이동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면서 경기 회복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선진국의 '백신 선점'
한은의 분석 결과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백신 공급은 평등하지 않다는 전망이다. 선진국은 백신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 해소, 정부의 적극적인 백신 물량 확보·접종 진행 등으로 올해 말이면 대부분 집단면역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먼저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등 세계 8대 주요 백신 업체의 현재 생산 규모는 3월 초 계약 물량 기준, 80억회분이다. 설비 확충 시 최대 130억회분이다. 투약 횟수가 대부분 2회인 것을 고려하면, 전 세계 인구 중 최소 50%에서 최대 90%가 접종할 수 있다. 해당 수치로 계산해 보면, 올해 안에는 전 세계 인구 모두가 백신을 접종을 할 수 없다.
현재까지 생산된 백신의 대부분은 선진국이 필요 이상으로 구매를 마친 상태다. 영국은 인구의 340%, 미국은 200%를 확보했다. 이렇게 되면 타 국가의 백신 공급은 더 부족해진다는 지적이다.
반면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 신흥국들은 연내까지 충분한 백신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선진국의 백신 보급이 끝나는 내년 중반 이후에야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백신 물량확보뿐만 아니라 대규모 접종시스템과 일부 백신이 요구하는 냉동운송·보관 인프라(화이자 -75℃, 모더나 -20℃ 초저온 냉동 보관 설비)의 구비도 여의치 않아 접종 환경 구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또 신흥국간 백신 접종 속도의 편차가 큰 문제도 있다. 실제 ‘아세안 5개국(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 주요 5개국)'의 경우 백신 확보 및 접종 속도는 중남미 국가보다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선진국간 교류는 올해 2분기부터 연말까지를 기준으로 회복되겠지만, 선진국-신흥국간 및 신흥국간 교류는 당분간 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해 엄격한 출입국 관리, 백신 보급 문제 등이 이어지면서 내년 이후에나 정상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은 "선진국은 백신 우선 접종으로 올해 2·4분기를 지나면서 회복속도가 빨라지며 경기회복세가 점차 확대될 전망"이라며 "신흥국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올해 말경부터 회복속도가 점차 빨라져 내년 중반 이후에야 양호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출이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아시아지역 국가를 중심으로 견실한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백신 공급 및 변이 발생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현우 기자] 최근 연예계, 스포츠계 등 공인들의 학교 폭력(학폭) 의혹이 잇따라제기되고 있다. 연이은 학폭 소식에 피해자들은 "평생 지울 수 없는 ‘트라우마’가 생겼다"며 가해자들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트라우마는 과거 경험했던 위기 혹은 공포와 비슷한 상황이 생기면, 당시감정을 반복해 느끼면서심리적인 불안감을 겪는 증상을 뜻한다. 일반적인 의학용어로 '외상'을 지칭하거나 심리학에서는 '정신적 외상', '충격'을 말한다. 이 트라우마는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를 동반한다. 이미지가 장기 기억된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학폭, 성추행, 강간 등의 피해를 어린 나이에 당하게 되면, 이후 사회생활, 대인관계 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사회적 해악이 크다는 지적이다. 추가로 반복적인 트라우마 발생을 그대로 방치하면 복합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유발할 수 있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심한 경우, 환청이 들리는 등 정신병적 증상까지 나타난다. 극심한 정신·정서적 충격으로 슬픔이나 분노, 두려움과 같은 표정도 잘 구분하지 못 하는 경우가발생할 수 있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정신의학과 연구팀은 PTSD가 있
[폴리뉴스 강필수 기자] 국내 기술로 개발 중인 첫 국산 한국형 차세대 전투기(KF-X)가 베일을 벗고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다음 달 출고를 앞둔 KF-X 시제기가 공개된 것입니다. KF-X는 대한민국 공군의 노후 기종을 대체할 4.5세대 전투기입니다. 날개 너비 11.2m, 길이 16.9m의 KF-X는 F-16보다 크고 F-18보다 작습니다. 최대추력은 4만4000lb에 최대 이륙중량 2만 5600kg과 최대 탑재량 7700kg을 갖췄습니다. KF-X의 최대 속도는 마하 1.81, 시속 2200km에 달하며, 항속거리는 2900km입니다. 특히 KF-X에는 국내에서 개발한 AESA(능동위상배열) 레이더가 탑재됩니다. 부품만 약 22만개에 달하는 KF-X 시제기의 출고식은 다음 달 진행될 계획입니다. 시제기 출고식 이후에는 1년여에 걸친 지상시험을 거쳐 내년 7월경 첫 비행에 나설 예정입니다. 2001년 3월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공군사관학교 졸업식에서 국산 전투기 개발 의지를 밝힌지 20년 만에 ‘한국형 전투기’가 ‘이륙 준비’를 앞두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