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평화 위한 신뢰회복에 의견 같이해, 통신선 복원과 8월 한미연합훈련은 무관”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8년 9월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후 양 정상의 서명이 담긴 합의문을 들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8년 9월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후 양 정상의 서명이 담긴 합의문을 들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4월 27일 4.27 판문점선언 3주년을 맞아 친서를 교환하며 소통했으며 양 정상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서는 조속한 관계 복원과 신뢰 회복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청와대가 27일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오후 통신연락선 복원이 있기까지 지난 4월부터 남북 정상이 친서를 교환하고 남북관계 회복 문제로 소통한 내용에 대한 질문에 “양 정상은 남북관계가 오랜 기간 단절되어 있는 데 대한 문제점을 공유”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이 관계자는 아울러 정상 간 소통 내용에 대해 “코로나와 폭우 상황에 대해 조기 극복과 위로의 내용 등이 있었으며,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대화들이었다”며 “두 정상은 현재 코로나로 인해 남북 모두가 오래 고통 받고 있는 상황에서 하루속히 이를 극복해 나가자고 서로 간에 위로와 걱정을 나누었다. 두 정상은 각기 남과 북의 동포들에게도 위로와 안부 인사를 전했다”고 했다.

향후 남북한 정상 간의 접촉 계획을 묻는 질문에 “양 정상 간 대면 접촉에 대해 협의한 바 없다”고 했고 화상 정상회담 계획에 대해서도 “양 정상 간 화상 정상회담에 대해 논의한 바 없으며, 4월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3주년을 계기로 친서를 상호 교환했다”고 얘기했다.

통신연락선 복원은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중 누가 먼저 제안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양측이 협의한 결과”라면서 “지난 4월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3주년을 계기로 최근까지 몇 차례 친서를 상호 교환했으며, 이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통신선을 복원하여 남북 간 대화 통로부터 다시 시작하자는 데 합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신선 복원 후 남북한 통화에 대해 “서해지구 군통신선을 통해 오전 10시, 남북연락사무소는 11시경에 개시 통화가 이루어졌다”면서 앞으로 정상 간 통화 계획에 대해선 “남북연락사무소 남북연락대표 간 개시 통화를 통해 예전과 같이 오전, 오후 두 차례 정기 통화를 재개하기로 했다. 양 정상 간 통화에 대해 협의한 바는 없다”고 말했다.

남북 정상 간 핫라인 통화는 협의에 대한 질문에는 “통신선 복원은 양측이 협의한 결과이며, 핫라인 통화는 차차 논의할 사안”이라고 말했고 연락선 복원 협의 과정에서 지난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에 대한 북측의 사과나 입장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선 “앞으로 협의해 나갈 문제”라고 말했다.

통신선 복원일자가 정전협정 68주년이라는 시점에 진행된 것에 대한 의미와 8월로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 축소 또는 취소 검토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통신연락선 복원 시점에 대한 특별한 고려는 없었고, 통신연락선 복원과 한미 연합훈련은 무관한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