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이우호 기자]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자신을 비롯한 지도부 총 사퇴를 밝히며 대선 패배의 책임을 졌다.
송 대표는 이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비공개 최고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투표로 보여준 국민 선택을 존중하고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평소 책임정치 강조해왔기에 당 대표로서 대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고자 한다"며 "최고위원 여러분도 함께 사퇴 의사를 모아주셨다"고 말했다.
이어 "전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치열했던 대선이 끝났다. 이재명 후보 너무 고생하셨다. 윤석열 당선인 축하한다. 국민 통합을 위해 애써주길 바란다"며 "우리는 투표로 보여준 국민의 선택을 존중하고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이어 "당대표로서 마지막 인사를 드리면서 이재명 후보를 지지해준 1600여만 명의 국민들에게, 그리고 당원동지 여러분들에게 진심으로 고맙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당대표로서 승리로 보답하지 못해 너무나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우리는 최선을 다했다. 농부가 밭을 탓하지 않듯이 국민을 믿고 다시 시작하자"며 "우린 그렇게 이겨왔고 이겨나갈 것"이라고 지지자들을 위로했다.
송 대표는 "돌아보면 아쉬움만 남을 것 같아 돌아볼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소회를 밝였다.
그러면서 "전 앞으로 몸과 마음을 추스르고 반구제기(反求諸己, 어떤 일이 잘못되었을 때 남을 탓하지 않고 자기 자세와 실력을 탓함)의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이제 평당원으로 돌아가 당의 발전과 5년 뒤로 미뤄진 4기 민주정부 수립을 위해 어떤 수고도 마다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날 회견에는 최강욱, 강병원, 김영배, 백혜련, 전혜숙, 김용민, 이동학, 김주영 최고위원 등 지도부 전원이 함께했다.
민주당은 윤호중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으로 선임하고 오는 25일까지 새 원내대표를 선출하기로 했다. 또 이재명 후보를 당 상임고문으로 위촉했다.
고 수석대변인은 "송 대표가 이 후보에게 전화해 상임고문으로서 향후 당에 여러가지 기여를 해주고 도와달라고 했고, 이 후보가 수락했다"고 했다.
한편 전날 끝난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는 47.83%의 득표율로 윤석열 당선인(48.56%)에 석패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