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접촉 면회만 가능한 요양병원 [연합뉴스 자료사진]
▲ 비접촉 면회만 가능한 요양병원 [연합뉴스 자료사진]

[폴리뉴스 한유성 기자] 코로나19 겨울 재유행(7차 유행)이 본격 진행되면서 정부가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 보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감염취약시설 입소자·종사자에 대한 코로나19 개량백신(2가 백신) 추가접종 제고 방안이 제시된 가운데 지난달 초 재개된 접촉 면회가 한 달여 만에 다시 제한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13일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아직은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라며 "다음 주 확진자 증가 추세와 확진자 중 60세 이상 비율, 감염취약시설 집단발생 건수 등을 더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14일 상황평가회의를 열고 각 시설 관계자들의 의견도 수렴할 예정이다. 겨울 재유행이 진행되고 있어 방역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루면 접촉 면회, 외출 관련 방역 조치를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요양병원과 시설, 정신병원·시설, 장애인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의 접촉 면회는 여름 재유행(6차 유행)이 확산하던 지난 7월 25일부터 금지됐다가 재유행 감소세가 확연해지자 지난달 4일 재개됐다.

그러나 겨울 재유행이 시작하면서 감염취약시설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0월 4주(10.23∼29) 감염취약시설에서 발생한 확진자는 1만1천281명으로, 10월 1주(10.2∼8일) 4천924명의 곱절 이상으로 증가했다.

감염취약시설 중 요양시설 내 확진자 수는 같은 기간 1천729명에서 4천165명으로, 요양병원 확진자 수는 1천633명에서 3천807명으로, 장애인 복지시설 확진자 수는 264명에서 719명으로, 정신의료기관 확진자 수는 273명에서 536명으로 각각 늘어나는 등, 전반적으로 확진자 수가 증가하면서 감염취약시설 내 확진자 수도 함께 증가하는 추이가 확인됐다.

그러나 정부는 감염취약시설 방역 조치와 관련해서는 단순한 확진자 수 증가보다는 확진자 중 60세 이상의 비율과 집단감염 발생 건수를 더 의미 있는 지표로 본다. 

아직은 이들 지표에서 급증 추이가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11월 1주(10.30∼11.5) 확진자 중 60세 이상 비율은 25.4%로 전주(25.6%)보다 오히려 소폭 감소했다. 10월 2주 25.3%와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전체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비율은 10월 1주 3.3%에서 10월 4주 3.8%로 소폭 증가했다.

정부는 여름 유행에 이어 겨울 유행도 일률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없이 일상을 유지하면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감염취약시설에는 위중증·사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큰 고위험군이 몰려 있어 더 강한 보호 조치를 취해왔다.

다만 접촉면회 제한에 대해서는 정서적인 문제도 고려해 제한 조치를 부분적으로 적용할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감염취약시설 방역 조치를 검토하기에 앞서 위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고령자와 감염취약시설 입소자의 중증화·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지난 11일 고위험군에 대한 동절기 추가접종률 제고 방안을 내놓았다.

행정복지센터에 고령자 대리 예약창구를 설치하고, 사전예약이나 당일예약 없이도 현장 접종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감염취약시설별 접종계획을 수립해 시행하는 등 고위험군 접종 독려 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선제적으로 강력한 감염취약시설 보호 조치를 적용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요양병원 대책이 너무 늦었다"며 "감염취약시설이나 고령층 접종은 어떤 형태의 인센티브와 페널티를 주는 한이 있어도 드라이브를 세게 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코로나19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