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정부의 대응방안 및 미국과의 해결에 귀추 주목

지난 1978년 경상북도 칠곡 왜관에 위치한 미군기지 캠프캐럴에서 고엽제를 매립했다는 증언이 나와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모든 주한미군 부대들에 다이옥신 제초제를 없애라는 명령이 하달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그 파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

25일 퇴역 주한미군 인터넷 사이트인 '한국전 프로젝트(Korean War Project)'에 주한미군 부대에 저장된 모든 다이옥신을 없애라는 명령이 내려졌었다는 주장의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을 쓴 사람은 1977년부터 1978년까지 미 육군 2사단 사령부에 복무했던 래리 앤더슨 씨.

그가 다이옥신을 묻었다는 시기는 캠프캐럴에서 고엽제를 묻었다는 시기와 비슷하다.

이렇게 고엽제로 추정되는 물질 이외에 다이옥신 제초제를 묻으라는 명령이 있었던 것은 1978년 당시 미국 내부에서 유독성 화학물질 매립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 일으켰고 또한 베트남전에서 사용한 고엽제 피해가 드러나며 미국 정부가 궁지에 몰리며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퇴역한 미군들에 의해 유해물질이 미군부대 내부에 매립됐다는 제보가 일고 있는 가운데 1971년 비무장지대(DMZ) 고엽제 살포에 민간인이 동원됐다는 진술도 나왔다고 녹색연합이 밝혔다.

녹색연합은 최근 강원도 민간인통제선 지역 내 한 주민과의 인터뷰에서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 민간인이 비무장지대 내에서 고엽제 살포에 동원됐다는 진술을 확보했다며 사진과 진술 내용을 25일 공개했다.

익명을 요구한 이 주민은 DMZ의 시야 확보를 위해 고엽제 살포 작업을 진행했으며 풀이 자랄 때마다 수시로 작업을 했다는 것이다.

특히 미군의 감시하에서 이루어진 이 작업은 보호장비도 없이 맨손으로 진행됐다고 해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관내에 미군기지가 위치한 지방자치단체들도 대응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일 기울이고 있다.

부천시는 1964년 3~4월에 오정동에 위치한 캠프머서에 있던 미국화학물질 저장소를 경북 칠곡 캠프캐롤로 이전하면서 부대 안에 구덩이를 파고 고무옷, 가스 마스크 등과 함께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화학물질 수 백 갤런을 함께 묻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곧바로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

부천시는 우선 군대배의 실태파악 후 매립여부 확인 및 토양오염 조사 과정에 부천시가 공동으로 참여하겠다는 의견을 전달했으며, 만약 공식적으로 오염이 된 것으로 밝혀질 경우 환경부, 국방부 등 중앙부처와 유기적인 관계로 토양오염 원상복구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고엽제에 이어 다이옥신 제초제 매립으로 그 파장이 일파만파가 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정부가 어떤 입장을 취할지, 미국과 이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지에 귀추가 주목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