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GDP 10% 블록체인 기술로 거래...4차산업혁명의 운영체계
인호 고대 교수 “블록체인, 세계 경제 리드할 수 있어”

인호 고려대 컴퓨터학과 교수. <사진=이은재 기자>
▲ 인호 고려대 컴퓨터학과 교수. <사진=이은재 기자>
[폴리뉴스 서예온 기자]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선 ‘블록체인(차세대 인터넷 기술)’에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3일 오전 여의도 CCMM빌딩에서 열린 ‘2017 상생과 통일포럼’에 패널로 참석한 인호 고려대 컴퓨터학과 교수(한국블록체인협회장)는 “블록체인 기술을 열심히 개발하면 세계(경제)를 끌고 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4차 산업혁명의 운영체계로 불리는 블록체인을 누가 주도하느냐에 따라 세계 경제의 판도가 바뀔 수 있다는 것. 블록체인은 데이터와 신뢰 자산(전자화폐, 주식원장, 보험원장, 부동산계약서, 전자 투표지, 지적 재산권)을 안전하게 전달, 교환, 저장하는 차세대 인터넷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P2P(Peer-to-Peer·개인 대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노드(P2P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컴퓨터) 거래 장부를 복사하기 때문에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중앙서버만 해킹하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기존 시스템(중앙 집중형 네크워크)과 달리 P2P 네트워크 노드를 하나씩 공격해 동시에 51%의 노드를 장악하지 않으면 해킹이 어려운 구조다. 따라서 데이터 및 자산거래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금융·헬스케어뿐만 아니라 정치, 행정, 공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인호 교수는 말했다. 

일례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중간자 없이 안정적으로 보험금이 지급될 수 있어 보험비 관리·감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을 통해 개인 헬스 정보(운동량, 심박 수, 수명 양과 질)가 거래되면서 헬스정보에 따라 보험료를 책정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정치 분야에선 전자 투표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투표 행정비용이 낮아져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게 인 교수의 설명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시장 파급력도 크다. ‘2016년 다보스포럼’은 전 세계 GDP(국내총생산) 10%가 블록체인 기술로 거래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금융회사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경우 거래비용의 약 30%를 절감, 2022년에는 절감 비용이 2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경제포럼(WEF)은 올해 해외 은행 80%가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분위기에 맞춰 해외 국가는 블록체인 투자를 늘리고 있다. 영국은 지난해 사물인터넷 지원 규제계획을 수립한 데 이어 관련 기술 역량확대를 위한 ‘사물인터넷(IoT) UK’ 정책을 개시했다. 또 블록체인 기술 연구·개발 비용을 140억 원(2015년)에서 약 212억 원으로 늘렸다. 

아시아 국가의 투자도 활발하다. 중국은 위안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전자화폐를 추진하고 31개 중국회사를 묶어 블록체인 협의체(China Ledger Alliance)를 발족했다. 일본은 비트코인을 전자화폐로 인정하고 2020년 하계올림픽을 위해 다양한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 교수는 지적했다. 금융업계는 현재 금융위원회 주도로 은행권·자본시장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만드는 등 시범 사업을 논의하고 있다. 

인 교수는 “국내 금융업계는 글로벌 시장에 의미 있게 진출한 적이 없다”며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무기가 필요한 데, (4차 산업 혁명시대에서는) 블록체인을 통해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