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증권사 펀드 신규판매 중단
라임 등 사모펀드 사태 영향 커
“업계가 시장 불안감 조성” 지적

오스템임플란트 본사. <사진=연합뉴스>
▲ 오스템임플란트 본사.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고현솔 기자]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사건의 여파가 금융권으로 번지고 있는 가운데 주요 시중은행과 증권사들은 관련 펀드 판매 중단에 가속화하는 모양새다. 업계는 지난 2~3년간 이어진 사모펀드 사태가 미친 영향이라고 해석하는 한편, 과도한 조치가 아니냐고 지적하기도 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과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최근 오스템임플란트가 편입된 펀드의 신규 판매를 중단했다. 기존 가입자의 추가납입이나 이체는 가능하지만 신규 펀드로 가입은 불가능하다.

가장 먼저 하나은행은 지난 5일 오스템임플란트가 단 1주라도 담긴 77개 펀드의 신규 가입에 제동을 걸었다. 이어 6일 농협은행(29종)과 국민은행(43종)이, 7일 신한은행(18종), 우리은행(5종)이 신규판매를 중단했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미래에셋·한국투자증권·NH투자·KB증권 등 증권사들도 같은 결정을 내린 상황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객 보호 차원에서 신규판매를 중단하게 됐다”며 “판매 재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오스템임플란트에 대한 주식거래가 정지된 만큼 편입된 펀드의 수익률 또한 변동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펀드 판매중단이 이례적이라는 반응이다. 대부분 펀드에서 오스템임플란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1%가 안되는 등 미미하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업계는 라임·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사태를 겪은 은행들의 ‘학습효과’라고 해석한다.

금융감독원은 현재 라임펀드와 이탈리아헬스케어펀드, 독일 헤리티지펀드, 디스커버리펀드 등과 관련해 은행권 제재심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 하나은행에 대한 사모펀드 제재심 결과를 내리지 않고 추후 논의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에 대한 우리은행 DLF 사태 징계와 관련해 항소를 제기한 상황이다.

은행권은 금감원이 사모펀드와 관련해 은행 CEO(최고경영자)에까지 책임을 묻는 점은 과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손 회장 외에도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이 이러한 이유로 금감원과 행정소송을 진행중이다.

금융지주사 관계자는 “판매사의 문제를 확대 해석해 CEO까지 펀드 판매의 책임을 물은 것”이라며 “펀드 사태와 관련한 금감원의 태도에 결국 은행권의 펀드 판매 위축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운용업계가 과도한 결정으로 혼란을 부추긴다고도 주장한다. 오스템임플란트의 경우 회수가능 금액이 높은만큼 부실 우려가 크지 않은데다 펀드 판매 재개 시점 역시 안내되지 않아서 오히려 기존 투자자들의 불안감만 높이고 있다는 것이다. 미래에셋증권에서 판매를 중단한 93개 펀드 중 80%(76개)는 오스템임플란트의 편입비중이 1% 미만이다.

마땅한 기준 없이 가입 중단이 이뤄졌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다른 종목에서도 종종 횡령이 발생하는데 이전까진 한 번도 펀드 신규 가입 자체가 중단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개별 종목의 횡령 문제가 터질 때마다 펀드 가입을 막는다면 공모펀드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지난달 31일 치과용 임플란트 제조업체이자 코스닥 상장사인 오스템임플란트는 자금관리 직원 이모씨가 1880억원을 횡령한 사실을 파악하고 지난 3일 업무상횡령(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이씨를 고소했다고 공시했다. 추가 횡령액이 확인되면서 그 규모는 2215억원으로 증가했다.

경찰은 회사 관계자들 중 이번 사건과 연루된 인물이 추가로 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지난 7일 이씨와 함께 일한 재무팀 직원 2명 등을 소환해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으며 12일 오후 오스템임플란트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