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노숙인들의 평균 노숙생활 기간이 10년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7일 거리 노숙인과 노숙인생활시설 입소자 및 쪽방 거주민 등의 규모와 건강 상태, 의료이용, 노숙 원인과 경제활동 상황을 조사한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노숙인 수는 8천956명으로 5년 전(1만1천340명)보다 2천384명(21.0%) 감소했다.

이들 중 노숙인 생활시설에 입소한 이들이 7천361명(82.2%)으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거리에서 노숙하거나 노숙인 이용시설에 거주하는 이들이 1천595명(17.8%)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6천439명(71.9%)으로 여성(2천493명·27.8%)보다 많았다.

거주 지역에 따라서는 전체 노숙인의 4천331명(48.4%)이 수도권에서 생활 중이며, 그중에서도 거리 노숙인의 74.6%(1천189명)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거리 노숙인이 노숙하게 된 가장 결정적인 사유는 '실직'(42.4%)이다. '사업실패'와 '이혼 및 가족해체'도 각각 17.5%, 8.9%를 차지했다.

특히 거리 노숙인 66%는 '거리·광장'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평균 거주기간은 122.8개월로 10년을 훌쩍 넘는다.

복지부는 "노숙인은 교통이나 각종 편의시설, 무료급식 서비스 등 이용 여건이 좋은 대도시 거리·광장 등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에 대응해 거리노숙인 현장보호활동 전담조직, 종합지원센터, 일시보호시설 등을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 밖에 주요 거처 장소로는 지하공간(17.7%), 공원·녹지(10.0%), 건물 내부(4.3%) 순으로 집계됐다.

복지부는 "노숙 생활이 장기화하지 않으려면 주거·일자리·의료 등 다양한 복지 지원이 필요하다"며 "근로 능력이 있는 노숙인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해 자립을 돕고, 연령이나 질병 문제가 있을 때는 시설에 입소하거나 생계, 주거 급여를 지원 중"이라고 설명했다.

노숙인들은 지난해 코로나19 유행 시기와 맞물리면서 일자리를 구하기가 가장 어려웠던 것으로 조사됐다.

일상생활의 어려움(5점 만점)으로 평가한 조사에서 '구직'이 2.0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료서비스 이용'(1.6점), '사회복지시설 이용'(1.3점)으로 뒤를 이었다.

실제로 노숙인의 미취업률도 2016년 61%에서 13.1%포인트 증가한 74.1%로 급상승했다.

복지부는 "전체 노숙인의 규모가 감소하고 있지만, 성별·나이·노숙 기간 등 특성을 고려한 복지 서비스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노숙 기간의 장기화를 막기 위해 현장 보호활동을 강화하고, 노숙 초기 단계에 조기에 개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