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차원의 언론 장악 시도 거부' 등 5가지 과제 제시
정부정책, 언론단체‧언론사 운영, 언론보도 등 논평 예정

중도성향 시민단체 '공정언론을 생각하는 사람들' 발기인인 김석수 직접민주주의연구원 원장과 안혜진 허츠코리아 대표가 20일 발기문을 읽고 있다. <사진=공정언론을 생각하는 사람들>
▲ 중도성향 시민단체 '공정언론을 생각하는 사람들' 발기인인 김석수 직접민주주의연구원 원장과 안혜진 허츠코리아 대표가 20일 발기문을 읽고 있다. <사진=공정언론을 생각하는 사람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 시민단체 「공정언론을 생각하는 사람들」(이하 공생사)이 9월 20일 출범했다. 공생사는 발기문에서 먼저 ‘박근혜 정부는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언론을 통제하려 했다. 문재인 정부는 언론중재법으로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 시도했다. 방법에 차이는 있지만, 방향은 모두 언론 장악이었다’고 지적한다.

특히, ‘양당은 싸움을 조장했고, 언론은 이를 부추겼다. 그 과정에서 국민 대통합, 사회적 합의는 빛을 잃었다. 극단적 양극화 속에서 중도는 설 땅을 잃었다. 국민 대다수는 중도지만, 불행히도 이들을 대변할 통로는 막혀있다’며, ‘이런 속에 언론사들이 언론의 자유를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문제제기를 한다. 

아울러 ‘극단적 양당 구도 하에서 언론사들은 특정 정당 편에 서거나 기계적 중립이란 미명 하에 대변인이나 다름없는 이들을 최소한의 역량 검증도 없이 무차별적으로 출연시키고 있을 뿐이다. 당리당략적 정쟁을 무한 재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공영방송조차 그 대열에 합류한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한다.

이런 차원에서 공생사는 이 시대를 민주주의 위기로 진단한 뒤, 다음과 같은 과제들을 적시한다.

‘첫째, 우리는 정권 차원의 언론 장악 시도를 거부한다. 둘째, 우리는 공영 방송사의 경영진을 친 정권 인사들로 교체하는 관행의 중단을 요구한다. 셋째, 이념 지향성이 강한 노동조합을 비롯한 언론단체의 보도에 대한 그 어떤 영향력도 거부한다. 넷째, 권력에 부역하는 폴리페서, 폴리널리스트들이 언론에 발붙이지 못하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희망한다. 다섯째, 국민 대통합과 사회적 합의를 주도할 중도층 여론 수렴을 위해 언론사들이 나서줄 것을 촉구한다.’

공생사는 향후 (1)정부의 언론정책에 관한 논평 (2)언론단체들의 활동에 관한 논평 (3)각 언론사 운영에 관한 논평 (4)각 언론사 보도에 관한 모니터링과 논평 (5)각 방송사 프로그램에 관한 평가 (6)언론보도 또는 프로그램에 관한 평가기준 연구개발 등의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생사는 언론의 공정보도에 대해 우려하는 중도성향 지식인들이 만든 단체다. 발기인은 곽수종(리엔경제연구소 소장), 김석수(직접민주주의연구원 원장), 김한규(변호사), 안혜진(허츠코리아 대표), 여상원(변호사), 이종훈(정치평론가), 허만섭(원주강릉대 교수)(가나다 순) 등이다.

공생사는 수평적 조직문화를 지향하는 까닭에 대표를 두지 않는다. 각자 자발적으로 사업을 제시하고 회원들의 동의를 받아 스스로 간사가 되어 추진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다음은 '공생사' 발기문 전문이다.>

시대는 위태롭고 지성은 사라졌다. 진영만 남은 황야에 분열과 갈등만이 가득하다. 편견과 흑백논리, 확증편향이 난무하고 있다. 민주의 탈을 쓴 포퓰리즘으로 권력만을 추구하는 정치 공학이 보편화한지 이미 오래다. 양분된 진영에 권력의 부나방들만 가득하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우리는 민주공화국에 살고 있는가? 국민이 주인이고 함께 조화로운 대한민국은 어디에 있는가? 이 시점 우리는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민주주의의 마지막 보루인 언론에 주목한다.

우리 헌법 21조 1항은 “모든 국민은 언론 출판의 자유와 집회, 결사의 자유를 가진다”라고 규정한다. 언론은 권력과 자본을 감시하고 비판해야 한다. 감시와 비판의 잣대는 불편부당해야 한다. 특히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하지만, 불행히도 우리 언론은 그렇지 못하다. 박근혜 정부는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언론을 통제하려 했다. 문재인 정부는 언론중재법으로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 시도했다. 방법에 차이는 있지만, 방향은 모두 언론 장악이었다. 

이런 속에 언론사들이 언론의 자유를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 극단적 양당 구도 하에서 언론사들은 특정 정당 편에 서거나 기계적 중립이란 미명 하에 대변인이나 다름없는 이들을 최소한의 역량 검증도 없이 무차별적으로 출연시키고 있을 뿐이다. 당리당략적 정쟁을 무한 재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공영방송조차 그 대열에 합류한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언론 자유의 수호자가 되어야 할 자들이 그 자유로부터 도피를 택한 셈이다.

양당은 싸움을 조장했고, 언론은 이를 부추겼다. 그 과정에서 국민 대통합, 사회적 합의는 빛을 잃었다. 극단적 양극화 속에서 중도는 설 땅을 잃었다. 국민 대다수는 중도지만, 불행히도 이들을 대변할 통로는 막혀있다. 양당이 이들의 목소리를 듣지 않고 언론이 눈 감으면, 건강한 여론은 설 땅이 없다. 흑백의 안경으로 무지개를 볼 수는 없다. 우리는 언론이 본연의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공정언론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이름으로 다음과 같이 천명한다.

첫째, 우리는 정권 차원의 언론 장악 시도를 거부한다.

둘째, 우리는 공영 방송사의 경영진을 친 정권 인사들로 교체하는 관행의 중단을 요구한다.

셋째, 이념 지향성이 강한 노동조합을 비롯한 언론단체의 보도에 대한 그 어떤 영향력도 거부한다.

넷째, 권력에 부역하는 폴리페서, 폴리널리스트들이 언론에 발붙이지 못하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희망한다.

다섯째, 국민 대통합과 사회적 합의를 주도할 중도층 여론 수렴을 위해 언론사들이 나서줄 것을 촉구한다.

‘공정언론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 시대를 민주주의 위기로 진단한다. 진영의 스피커로 전락한 채 정치만 대변하는 언론의 황폐화를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 우리는 오직 시민의 양심으로 언론을 감시하고 비판하며 헌법에 보장된 언론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