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신건 기자] 바른미래당이 6.13 지방선거 결과를 분석하는 자리에서 서울시장 후보로 나섰다가 낙선한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의 정계은퇴 요구에 대해 ‘섣부른 판단’이라는 데에 공감대를 모았다. 이들은 바른미래당의 재건을 위해서는 안 전 대표가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로 말했다.
바른미래당은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바른미래당 6.13 지방선거 평가와 과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자리에는 주최자인 김관영, 하태경 의원을 비롯해 발제자인 김태일 교수, 김중로 전 최고위원, 이성권 전 부산시당 위원장, 장진영 전 동작을 지역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태일 “안철수는 지방선거 재물…당 재건 위해선 필요”
발제자인 김태일 전 국민의당 혁신위원장은 이날 토론에서 “이번 6.13 지방선거를 통해 바른미래당이 부활의 서사를 쓸 수 있을 것 같다”며 “부활의 서사에 있어서 재단에 받쳐진 것은 안철수였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유승민, 박주선 공동대표 등의 제사장들이 기도를 올렸지만 응답은 없었고, 엑스터시가 없이 끝났다”며 “그렇다고 해서 이걸 질풍노도 탓으로 돌리는 것은 부활의 서사를 쓰는 자세가 아니다. 질풍노도 속에서 돌이켜봐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안 전 대표는 사회에서 쌓아왔던 정치적 자본을 정치사회에 들어와서 거의 다 소진한 것으로 보인다. 안 전 대표가 더 큰 역할을 하기 위해서라도 소진된 소셜 캐피탈을 충전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안 전 대표가 우리가 쓰고자 하는 부활의 서사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이성권 “안철수, 냉철한 판단 받아야 성장…민생행보 보여야”
이성권 전 부산시당 위원장은 김태일 교수의 발언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안 전 대표를 ‘재물’로 표현한 것에 대해 “정치인은 스스로 선택하고, 결단하고, 받아들인 것이기 때문에 재물이란 표현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김 교수의 발언대로라면 다른 지역에 출마한 후보자들 모두가 ‘재물’이 된다”며 “냉정한 판단을 받아아 안 전 대표의 성장에 밑거름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가 지방선거 패배 직후 미국으로 간 것에 대해서도 이 위원장은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다”고 비판했다.
이 위원장은 “일반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이 80%정도인데, 정치하는 사람들은 일이 생기거나, 머리를 식히러 외국에 나간다. 국민과 동떨어진 삶을 사는 사람들이라는 이미지를 은연 중에 갖게 된다”며 “그런 점에서 웰빙정당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안 전 대표의 정계은퇴를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민생을 챙기고 삶을 바치는 행동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진영 “지방선거 패인은 안철수…다만 지도부 책임이 더 커”
장 위원장은 지방선거 패인에 대해 “안 전 대표에게 전적인 책임이 있지는 않지만, 원인은 안 전 대표”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선거전략이 없었던 선거”라며 “지도부의 책임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