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경제성장률 2.6%로 잠재성장 수준에서 벗어나지 않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중구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현 1.75%로 동결한 금통화위원회의 결정 배경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중구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현 1.75%로 동결한 금통화위원회의 결정 배경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했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국내 반도체 수출 둔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요소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금리인하 가능성은 일축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해 11월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두 달째 동결이다.

한은은 금통위를 마친 뒤 발표한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세계경제 성장세가 다소 완만하게 움직였지만 국내 경제는 설비 및 건설투자의 조정에도 소비와 수출의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대체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당분간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이날 금통위를 앞두고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해왔다. 지난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2.7%)을 보인데다 반도체 수출 부진 등으로 경제지표가 불안한 흐름을 보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금융투자협회가 최근 국내 채권시장 전문가 200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9%는 한은의 금리동결을 전망했다.

게다가 강력한 금리인상 압박요인이었던 한미 금리차 부담도 줄었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횟수가 연내 3회에서 2회로 축소되는 등 미국이 금리인상 속도조절 기조를 보이고 있어서다.

미국의 금리가 오른다는 건 달러에 대한 투자 수익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이는 신흥국 통화에서 투자자 이탈을 부르는 요인이 된다. 한미 금리차가 커질수록 한국에 투자된 외국인 자금이 미국으로 옮겨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반대로 미국이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한국의 금리인상 요인도 줄어든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2.25~2.50%로 한은 기준금리(1.75%)보다 0.75%포인트 높다. 이 차이가 1%를 넘기면 한은은 금리인상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미 연준은 경기침체 우려가 증폭되고 금융시장이 출렁이자 이달 초 급격히 태도를 바꿨다. 금융권에선 연준도 1분기에는 일단 동결하며 지켜볼 것이란 관측이 많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2일 출입기자들과의 신년 다과회에서 “올해 통화정책은 국내 경기도 중요하지만 미 연준의 통화정책 스탠스와 보폭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한은은 올해 성장률과 물가 등 주요 경제지표를 하향조정하면서 금리를 인상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이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현재 연 2.7%에서 연 2.6%로 낮췄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도 1.7%에서 1.4%로 하향조정했다. 국제 유가 하락 여파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금융권에선 올해 기준금리 동결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은은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가겠다”며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주요국 중앙은행 통화정책 변화, 신흥시장국 금융ㆍ경제상황,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를 주의 깊게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다만 금리인하 가능성에 대해선 “현재 통화정책은 아직도 완화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