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의결문…성장흐름 1월 전망경로와 대체로 부합, 물가전망 하향 시사

28일 오전 한국은행에서 이주열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28일 오전 한국은행에서 이주열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75%로 동결했다. 국내 경기 둔화 우려와 유가 하락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약화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8일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해 11월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세 달째 동결이다.

한은은 금통위를 마친 뒤 발표한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앞으로 국내 경제 성장흐름은 지난달 전망경로와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당분간 수요측면에서 물가상승 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완화정도 추가 조정여부는 향후 성장과 물가 흐름을 점검하면서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이날 금통위 회의를 앞두고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해왔다. 국내 금융투자협회가 이달 13~18일 104개 기관의 채권 관련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 100%가 금리동결을 전망했다. 지난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2.7%)을 보여서다. 또한 이날 한은에 따르면 지난 1월 경기상황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개월 연속, 경기예측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8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유가 하락으로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이 약해진 것도 금리동결 전망에 영향을 미쳤다. 통상적으로 금리가 낮으면 돈을 빌리기 쉬워져 통화량이 많아지고, 현금가치가 하락한다. 동시에 현금을 주고 구매해야 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즉, 물가가 오르는 것이다. 이를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정부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 금리를 인상한다.

향후 한은의 통화정책 방향은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여부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미 금리차 확대는 한은에 강력한 금리인상 압박요인이 된다. 미국의 금리가 오른다는 건 달러에 대한 투자 수익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이는 신흥국 통화에서 투자자 이탈을 부르는 요인이 된다. 한미 금리차가 커질수록 한국에 투자된 외국인 자금이 미국으로 옮겨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다만 미 연준은 올해 금리인상 횟수를 연내 3회에서 2회로 축소하는 등 금리인상 속도조절 기조를 보이고 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한국의 금리인상 요인도 줄어든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2.25~2.50%로 한은 기준금리(1.75%)보다 0.75%포인트 높다. 이 차이가 1%를 넘기면 한은은 금리인상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밖에도 미중 무역협상, 북미 정상회담,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 굵직한 변수가 한은의 통화정책 고려요인으로 산적해있다.

아울러 한은은 이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달과 같은 2.6%로 제시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도 기존 1.4%를 유지했다.

한은은 국내 경제상황에 대해 “수출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소비가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하면서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앞으로도 경제는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흐름을 보이겠지만 물가상승률은 1% 아래에 머무는 등 예상보다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어 “건설투자 조정이 지속되지만 소비가 증가흐름을 이어가고 수출과 설비투자도 하반기로 가면서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선 “주요국과 교역여건, 주요국 중앙은행 통화정책 변화, 신흥시장국 금융·경제상황,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오는 3월 회의를 앞두고 있다. 지난 26~27일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의회에 출석해 당분간의 금리동결과 보유자산 축소 중단 계획 발표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한 입장이 3월 회의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