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가까이 집이 없이 전세로 살아, 靑 퇴직 후 대비해 마련”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자신이 지난해 서울 동작구 흑석동 재개발 지역에 25억7000만원을 들여  복합건물을 사들인 것에 대해 언론의 ‘부동산 투자 고수’, ‘부적절한 부동산 투기’라는 취지의 보도에 대해 “동의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자관보에 28일 공개된 실린 정부공직자 정기재산변동 신고사항에 따르면 김 대변인은  25억7000만원 가격의 흑석동 건물이 새로 등재됐다. 김 대변인은 채산총액으로 14억 1038만원을 신고했고 이 건물을 매입하기 위해 금융기관 대출과 사인 간의 채무를 포함해 16억4579만원을 받은 것으로 돼 있다.

이와 관련해 조선일보는 이날 김 대변인의 흑석동 건물 매입 보도를 통해 김 대변인이 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부인의 퇴직금(2억775만원)과 청와대 관사로 입주하면서 마련한 기존 거주 주택의 전세 보증금(4억8000만원) 등을 모두 모아 건물을 매입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대해 조선일보는 <靑 투기대책 쏟아낼 때, 대변인은 ‘재개발 올인’>이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부동산 전문가의 말을 빌어 ‘전형적인 재개발 투자’라고 지역하면서 “건물의 상태로 볼 때 거주 목적보다는 세를 주고 적당히 관리하다가 재개발 이후 조합원 권리로 새 아파트를 분양받거나, 청산 후 현금화하려는 목적”이라고 지목했다

특히 김 대변인이 흑석동 건물을 매입할 당시 정부가 부동산투기 대책을 내놓을 무렵이란 점을 들며 청와대 대변인으로서 적절치 못한 행위를 했다는 취지의 보도를 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이 보도와 관련해 “결혼 이후 30년 가까이 집이 없이 전세를 살았다. 그러다 지난해 2월부터 청와대 관사에서 살고 있다. 청와대는 언제 나갈지 알 수가 없는 자리”라며 “청와대를 나가면 집도 절도 없는 상태다. 그래서 집을 사자고 계획을 세웠다”고 자신의 입장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마침 제가 (한겨레신문사를) 퇴직하고, 아내도 30년 넘게 중학교 교사생활을 하면서 받을수 있는 퇴직금. 이 지난해 3월까지 돈이 들어와서 여유가 생겼다”며 “분양신청은 여러 번 했는데, 계속 떨어졌다. 그래서 집을 사자고 계획을 세웠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흑석동 건물을 사게 된 경위에 대해 “흑석동은 아주 가까운 친척이 부동산 중개업을 하고 있다. 그분이 매물을 살 것을 제안했다. 제가 별도로 특별한 정보를 취득한 것은 아니다”며 건물 취득과정에서의 부당한 경제행위는 없었음을 강조했다.

아울러 재개발 상가건물을 매입한 배경에 대해 “재개발 완료가 되면 아파트와 상가를, 받을수 있다고 알고 있다. 현재 팔순 노모가 혼자서 생활하고 계시다. 제가 장남이다. 그래서 그동안 제가 어머님을 어머니를 모실 수 있는 좀 넓은 아파트가 필요했다”며 “상가는 제가 청와대를 나가면 별달리 수익이 없기 때문에, 아파트 상가임대료를 받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건물 매입 자금에 대해 “제 재산 공개내역을 보면 알겠지만 제 순 재산이 14억원이다. 집이 25억원인데 제 전 재산 14억 들어가 있고, 그 차익인 11억원이 제 빚”이라며 “은행에서 10억 대출, 사인 간 채무 1억원 있다. 사인 간 채무라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아니라, 제 형제들, 또 처가의 처제다. 제가 어느 쪽은 빌려주고 어느 쪽은 받았다. 양쪽을 다 상계하면 한 1억 정도 채무로 잡힌다”라고 얘기했다.

조선일보가 김 대변인이 이 건물을 사기 위해 KB국민은행에서 배우자 명의로 10억2080만원을 대출받았고, 사인 간 채무도 3억6000만원 발생했다며 흑석동 건물 세입자에게 받은 보증금(2억6500만원)까지 포함하면 총 16억4580만원의 빚을 지고 건물을 샀다고 추정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다.

현재 상당한 시세 차익을 봤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김 대변인은 “현재 그 집이 35억 가치라는 보도가 있었다. 저도 그러면 좋겠다. 그러나 지난해 7월 8월, 913 대책 나오기 전에, 서울시내 주택가격이 최고점이었다”며 “9.13 대책 이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부인했다.

이어 “(언론 보도에) ‘투자 고수의 결정’ 이런 표현이 있던데 거기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