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심재철 원내대표가 18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당대표 주재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심재철 원내대표가 18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당대표 주재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황교안 자유한국당 당 대표가 취임한 지 1년이 돼 간다. 그동안 보여준 황 대표의 리더십은 장외투쟁, 삭발, 단식농성 등 대여 투쟁일변도를 보였다. 황교안 리더십이 불안한 첫 번째 이유다. 오죽하면 당내에서 ‘당이 검찰처럼 돌아간다’며 상명하복시 문화를 한탄하는 목소리까지 나왔다. 

포털 검색창에 황교안 리더십을 치면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것 중 하나가 역시 강경 투쟁 일변도의 리더십을 질타하는 언론보도가 가장 많다. 최근 국민통합연대라는 신당창당을 선언한 이재오 한국당 고문은 “싸움만 잘한다고 야당 대표가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홍준표 전 대표는 “사장이 갑자기 머리띠를 매고 노조위원장을 한다고 해서 국민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겠느냐”고 비꼬았다. 그 배경으로 윤여준 전 환경노동부장관은 방송에 출연해 “박근혜 탄핵에 대한 산을 극복하지 못한 게 큰 실수”라고 강경투쟁할 수밖에 없는 리더십의 한계를 지적했다. 

급기야 한국당 핵심 관계자는 페이스북을 통해 “장외집회로 나라를 바로잡고 총선 승리를 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냐”며 “제1야당의 총선 준비전략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이제 브레이크를 걸 때가 됐다”고 ‘포스트 황교안 체제’를 구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대표의 일련 행보가 내년 총선 승리보다는 그 너머 대권에 방점이 찍힌 듯한 인상을 지울 수 없는 이유다. 총선을 준비하는 당 대표라면 가장 큰 목표는 보수대통합이 돼야 할 것이고 인적쇄신을 통한 새피 수혈, 그리고 험지 출마 등 백의종군하는 모습을 보여야한다. 

그런데 상대 정당과 인물, 구도, 정책 경쟁 어느 면에서 한국당이 대안정당, 총선 승리를 위한 정당이라고 보기 힘든 상황이다. 오히려 황교안 1인 당 대표 체제를 구축하기위한 총선, 이를 위한 인적청산, 이를 위한 강경투쟁이 아닌가하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최근 비공개 의총에서 황 대표가 ‘조는 의원’을 두고 ‘절절함을 얘기하는 데 잠이 오냐’는 핀잔을 줬다는 후문이다. 정치와 검찰 조직은 전혀 다르다. 정치는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상대방과 국민을 감동시켜야 말을 듣고 따른다. 공무원 사회와 정치권은 다르다는 이재오 고문의 말은 틀린 말이 아니다. 

황 대표의 강경일변도가 계속될 경우 그 끝은 뻔하다. 이제 남은 것은 대표직을 걸고 위기를 연장하는 마지막 카드만 남게 된다. 특히 당내 불만 세력들은 아직 황 대표의 리더십 위기의 본질을 꺼내들지 않았다. 그것은 지난 패스트 트랙 정국에서 보여준 대표의 리더십 부족이다. 

나경원 전 원내대표는 외형상 황 대표 재신임 반대로 연임에 실패한 것처럼 비쳐지만 실제로는 원내대표시절 ‘자기장사’만 한 나 전 원내대표에 대한 한국당 의원들 다수의 암묵적 동의가 한몫했다.

원외 인사인 당 대표가 소속 의원들의 손으로 직접 뽑은 원내대표에 비토를 넣어 연임을 반대했는데 의원들 다수가 침묵한 이유다. 정상적으로 나 전 원내대표가 패스트정국속에 당과 소속 의원들의 이해관계를 정확히 대변했다면 오히려 황 대표가 월권으로 역풍을 맞을 수도 있었던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황 대표를 둘러산 분위기는 이상기류가 감지된다. 일단 비박계 주류 심재철 원내대표와 친박 김재원 정책위의장이 차기 원내사령부로 구성됐다. 당초 친황계가 밀었던 조합은 떨어졌다. 

이어 터진 게 한국당 67명 살생부 명단이다. 이 살생부 명단에는 친박, 비박, 초선, 중진 가리질 않고 포함됐다. 명단에 오른 인사들 다수는 작성자 배후에 당권을 거머 쥔 친황계가 자리잡고 있는 게 아니냐는 시각이 많다. 

총선 승리보다 사천을 통한 친황 체제 구축과 차기 대선에 더 관심이 높은 황 대표 진영에 대한 비황계의 반격의 초읽기에 들어갔다. 어둠이 깊으면 새벽이 온다는 말이 있다. 황 대표의 대여 투쟁이 도를 넘어설수록 ‘포스트 황교안’ 구상은 더 빨리 표출될 공산이 높다. 황 대표 체제가 불안한 진짜 이유다. 

※ 외부 필자의 기고는 <폴리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