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적극적 지원 힘입어 세계 2위 의약품 시장 직접 진출…중국 내 최다 파이프라인 보유 바이오기업으로 성장 포부 내비쳐
중국 내 최대 규모 12만 리터급 바이오의약품 생산 시설 건설 계획 발표, 올 상반기 기공식 예정
2025년까지 현지 설비투자에 약 6천억 원 이상 투자 계획

기우성 셀트리온 대표이사 부회장(앞줄 왼쪽)과 천핑 동호개발구 당공위 부서기가 지난 20일 중국 우한에서 열린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셀트리온 제공><br></div>
 
▲ 기우성 셀트리온 대표이사 부회장(앞줄 왼쪽)과 천핑 동호개발구 당공위 부서기가 지난 20일 중국 우한에서 열린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셀트리온 제공>
 

[폴리뉴스 황수분 기자]셀트리온이 중국 후베이성·우한시와 손잡고 세계 2위 의약품시장인 중국에 직접 진출한다.

셀트리온은 지난 20일 중국 중부 최대도시 우한시에서 셀트리온 및 후베이성 정부, 우한시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셀트리온이 선택한 우한시는 이미 300여 개의 제약·바이오 R&D 센터 및 기업이 자리해 중국의 바이오산업 전진 기지로 급부상 중이라는 점과 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제품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플랫폼 등이 잘 구축해 중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고루 갖추고 있다는 데 큰 점수를 얻었다.

셀트리온은 후베이성 및 우한시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중국 내 최대 규모인 12만 리터급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건설할 방침이다.

중국 공장에서는 바이오의약품 개발 생산뿐만 아니라, 중국 내수 시장 공급을 위한 대규모 CMO 생산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셀트리온은 중국 내 의약품 판매를 위한 직판망도 함께 구축해 현지 내수 시장을 본격 공략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2025년까지 5년간 설비투자에만 약 6000억 원 이상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투자재원은 그룹 자체 현금보유고 및 외부 투자유치 등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이번 투자계약 체결로 설립하는 법인을 통해 향후 설비투자뿐 아니라 제품개발에도 지속적인 투자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7년 이후 중국 국가의료보험(NRDL)에 바이오의약품이 대거 등재되면서, 2019년 케미컬의약품 대상으로 먼저 시행된 중국 국가집중입찰제도에 바이오의약품도 곧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는 현지 전문가들의 예측이 나오고 있어 중국 바이오의약품시장은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된다.

셀트리온은 이러한 정책적 기조 및 환경 변화를 바탕으로 셀트리온의 글로벌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뿐 아니라 추가로 개발하는 바이오시밀러 제품까지 지속적으로 중국에 출시해, 우한법인을 중국 내 최다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이번 협약을 통해 생산시설 건설을 위한 부지를 최종 선정했으며, 올 상반기 중 기공식을 가질 예정이다.

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기우성 셀트리온 부회장은 "중국은 고품질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큰 시장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시장규모가 크다"며 "셀트리온이 중국시장에 직접 진출한 만큼 세계적인 수준의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을 중국환자들에게 빠른 시간 안에 공급하고 이를 통해 셀트리온이 제2의 도약을 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역량을 집중시키겠다"고 말했다.

또한, 마궈창(Ma GuoQiang) 후베이성 위원회 부서기 겸 우한시 위원회 서기는 이날 환영사를 통해 “우한시는 지난 2002년 설립 후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선도기업으로 성장한 셀트리온의 우수한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준을 준수하는 대규모 공장을 유치하게 된 데 진심으로 환영하며, 앞으로 셀트리온과 손잡고 우한을 중국 내 최고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기지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 의약품 시장은 미국에 이은 세계 2위, 아시아 1위의 제약 시장으로 2018년 기준 9000억 위안(150조 원) 규모이며, 이 중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18년 약 600억 위안 (10조 원) 규모에서 2023년 약 1300억 위안(22조 원)으로 급격한 성장이 기대되는 차세대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여기에 최근 중국 정부가 바이오의약 분야에 기술력을 가진 외자기업의 중국 진출을 장려하는 등 바이오시밀러 관련 우호 정책을 펴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