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41.6%대 심재철 36.8%로 이재정 오차범위내 우세
3040세대 인구가 전체 인구의 1/3로 많아 여권 강세
세대교체 프레임 있지만 중진 무게감 무시하기 어려워
완주 의지 밝힌 추혜선, ‘다크호스’ 가능성

<사진=연합뉴스>
▲ <사진=연합뉴스>

경기 안양동안을 지역에 일찌감치 공천이 확정된 수도권 5선의 심재철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막강한 선거 경쟁력을 갖춘 중진이다. 통합당이 가장 고전하는 서울 근교 신도시 지역에서 통합당 현역 중 유일하게 5선 금자탑을 쌓았다, 지난 12월 원내대표직마저 맡게 되면서 명실상부한 당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다.

그에게 도전하는 이재정 민주당 의원은 비례대표 초선임에도 당 대변인 활동을 통해 전국적인 인지도를 확보한 스타 초선의원이다. 이러한 점이 3040세대 인구가 전체의 1/3을 넘을 만큼 대거 거주해 민주당 세가 강한 지역 특색에 더해져 지역 터주대감 심 의원을 상대로 호각세의 전투를 펼치고 있다.

심재철에 약 우세인 이재정…여당 지지층인 3040세대가 많이 살아

19일 여론조사기관 아이소프트뱅크가 중부일보 의뢰로 안양 동안을지역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5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37%p)에서 ‘심재철 대 이재정’ 대결에서, 이재정 의원이 41.6%를 얻어 36.8%를 기록한 심 의원을 오차범위 내인 4.8%p차로 앞섰다. 추혜선 의원은 7.4%를 기록했다.

이러한 이 의원의 우세는 의외이면서도 어느 정도 예고된 것이다. 심재철 의원은 20대 총선 당시 41.5%를 득표해 39.51%를 득표한 이정국 후보에게 간신히 앞섰는데, 야권 단일화 실패로 독자 출마한 정진후 정의당 후보가 19%를 득표하는 바람에 간신히 승리했다. 5선의 중진이지만, 민주당세가 지역적 특성 때문에 고전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로 안양지역은 전국 평균과 인구통계학적 구성이 비슷해 ‘한국의 뉴햄프셔’라고도 불린다. 안양에서 이긴 대선후보가 18대 대선을 제외하고 전부 대선 본선에서 승리하기도 했다. 특히 안양동안을 지역은 지난 20대 총선 이후로부터 특히 전체 트렌드처럼 민주당계 정당의 압도적인 우세가 이어지고 있다. 심 원내대표에게 험로가 예고된 셈이다.

추혜선 정의당 의원 출마 및 세대교체 프레임이 큰 변수

따라서 동안을 지역에 출마하는 추혜선 정의당 의원과 이재정 의원과의 단일화 변수가 이번 선거에서도 큰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추 후보는 지난 4일 ‘폴리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단일화는 절대 없다고 못 박은 바 있다.

추 의원의 경우, 지역의 시장 상인들을 대거 정의당에 입당시킬 정도로, 경쟁력을 갖춘 진보 정당 정치인이다. 단일화 의지가 없는 것에 대해서 추 의원은 ‘폴리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2월 “이번 총선 결과와 상관 없이 다음 지방선거를 준비해서 시의원들을 시의회에 보내고 정의당 풀뿌리 자치에 시민들의 삶이 어떻게 변하는지 성과로 보이고 싶다”는 각오를 보였다.

이번 총선의 최대 화두인 ‘세대교체’ 프레임은 6선에 도전하는 심 원내대표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경기 안양은 원래 5선의 이종걸, 6선의 이석현, 5선의 심재철 의원이 ‘장기집권’했었던 지역이다. 두 명의 이 의원이 민주당 후보 경선에서 탈락하면서 소위 ‘물갈이’ 된 상태인데, 심 의원 상대로도 그러한 현역 교체론이 불 수 있다.

이재정 의원은 실제로 “많은 안양 시민에게 고착화된 선거 구도와 특정 인물의 장기집권 등으로부터 안양을 바꿔내자는 열망을 느꼈다”며 “반드시 제가 세대, 정치교체의 적임자임을 유권자 여러분께 보여드리겠다”고 지난 2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비해 심 원내대표의 강점은 제1야당의 원내대표로서 보여주는 무게감에 있다. 코로나19의 창궐로 인해 대면 선거운동이 힘들어졌기에 매일 언론을 통해 유권자들에게 심 원내대표의 존재가 저절로 확인되고 홍보된다는 것도 현직 거대 야당 원내대표의 장점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월 17일부터 18일까지 2일간 안양시 동안구 을지역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50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유·무선(유선RDD 30%, 무선 가상번호 70%) 자동응답 조사로 진행됐다. 전체 응답률은 1.1%(무선 6.1%, 유선 0.3%)였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다. 통계보정은 2019년 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성·연령·지역별에 따른 가중치(셀가중)를 적용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