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실물위기 증시, 금융 전이 조기 차단 목적 조성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1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회의 개최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1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회의 개최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이은주 기자] 정부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실물경제 위기가 금융위기로 전이돼, 금융사 부실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채권시장안정펀드‧증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다만 발표된 10조원 규모라는 채권시장안정펀드의 조성 규모가 불안을 완전히 해소하기엔 다소 아쉬운 수준이고, 국내주식시장의 개방형 구조로 볼 때 증권시장안정펀드의 경우 극적인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조성 계획을 밝혔다. 일시적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을 돕기 위해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한다. 은행권은 기존 약정대로 10조원 규모의 펀드 조성에 기여하기로 했다. 펀드를 통해 우량 회사채를 대규모로 매입해, 위험 자산 기피 현상으로 우량 회사채조차 제대로 발행되지 않고 있는 회사채 시장의 신용 경색을 차단하려는 의도다. 크레딧 위기가 금융·증시 시장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정부의 대책이 신속성면에서 채권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평과 함께 규모면에선 다소 아쉽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원태 SK증권 연구원은 “금융당국이 전례 없이 빠른 대응안을 내놨다. 빠르게 시행된다면 채권시장은 크레딧 리스크로부터 한 숨 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고 했다. 다만 2020년 10조원 내외의 규모가 작다고 봤다. 윤 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만기 도래 예정인 회사채(금융채 제외) 시장을 보면 CP(기업어음)과 전단체가 총 116조원에 이르는데, 이 중 회사채가 37조에 이르기 때문이다.

월별 A0 이하 회사채 및 A2- 이하 CP 만기 도래 현황 <사진=SK증권 리포트> 
▲ 월별 A0 이하 회사채 및 A2- 이하 CP 만기 도래 현황 <사진=SK증권 리포트> 

특히 연간 만기 도래예정금액중 우량 회사채 물량은 무사히 상환된다고 봐도 6월 달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현황을 계산했을 때 적어도 15조 규모는 조성되야 한다고 윤 연구원은 봤다. 윤연구원은 “6월달 전까지 돌아오는 물량은 회사채 2.5 조원, CP/전단채 25.8 조원이다. 보수적으로 50% 이상 상환이 안 될 경우 대략 15 조원 이상은 있어야 시장은 안심할 수준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증시 추락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증시가 회복될 때까지 한시 운영되는 증시안정펀드도 조성될 계획이다. 다만 증시안정펀드의 경우 규모와 조성 방식은 구체화되지 않은 상태다. 은 위원장은 “일단 다음 주에 규모와 시행 시기를 발표할 것”이라면서도 “내규를 만들어야 하고 투자위원회 등 절차도 있는 만큼 증권시장안정펀드는 시간이 좀 더 걸린다”고 설명했다.

우선 증시안정펀드의 큰 골자는 개별 종목 주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시장대표 지수 상품에 투자하는 것을 방향으로 한다. 조성 규모는 1조원 이상이 될 전망이다. 원래 2008년 조성된 바 있었던 증안펀드는 한국거래소 등 증권 유관기관이 참여 대상이었는데, 이를 민간 금융사로 넓혀 펀드 규모를 수조원대로 확대하겠다는 게 금융위 구상으로 알려졌다.

국내 증시의 경우 흐름의 주도권이 외국인에게 있어, 정부의 펀드가 증시를 부양하는 극적인 효과를 내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지금 주식시장을 끌어내리는 기본적 동력이 코로나19 불안과 미국의 영향이어서 증시안정기금이 주가 낙폭을 멈추고 주가를 끌어올리는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다만 “증시안정기금이 주가가 내려가는 기울기를 완만하게 하거나, 주가가 바닥에 도달하고서 반등할 때 좀 더 에너지를 강하게 모으는 역할은 할 수 있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