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기수론’에 김종인, 김세연 공감대 형성
서울지역 3040대 후보들, 총선에서 득표 선전
청년 비상대책위·이준석 비대위원장 거론
“청년 정치 현실화 위해 정당법 개정해야”

<사진=연합뉴스>
▲ <사진=연합뉴스>

4·15 총선에서 참패한 미래통합당에서 ‘30대 기수론’이 제기되고 있다. 당의 진정한 혁신을 위해서 소위 ‘830세대(1980년대생, 30대, 2000년대 학번)’을 당의 전면으로 세우자는 제안이다. 근거는 3040세대의 ‘총선 선전’이다. 이에 30대 청년들로만 구성된 ‘청년 비대위’가 떠오르는 한편 ‘이준석 비대위원장’까지 잇단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21일 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당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거론되는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과 이번 총선에 불출마한 김세연 통합당 의원은 소위 ‘30대 기수론’에 크게 동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김 위원장은 40대 기수론을 거론했으나, 김 의원은 ‘40대도 노쇠하다’며 받아쳤다.

30대 기수론의 근거란 서울지역 총선 선전

830세대 기수론이 당 일각에서 호응을 얻는 것에는 이번 총선에서의 선전이 크다. 이번 총선에서 서울지역에 출마한 통합당의 3040세대 낙선자 11명은 평균 득표율 42.4%를 기록했는데 이는 서울지역에서 낙선한 기성세대의 득표율인 39.7%보다 3%p가량 높은 것이다.

민주당 당선자와의 격차도 마찬가지다. 3040세대 후보들은 서울에서 평균 11.5%p차였지만, 기성세대 후보자들은 16.5%p나 났다. 황교안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나경원 전 원내대표 등 당의 중진들이 대거 출마한 서울에서 정치 신인들이 도리어 더 좋은 결과를 낸 것이다.

청년 비대위 설립에 이어 이준석 비대위원장론(論)

이에 통합당에서는 ‘청년 비상대책위원회’를 설립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번 총선에 출마했던 천하람(34세)·김재섭(33세)와 통합당의 총선 선대위 부위원장을 맡았던 조성은(32)의 주도로 만들어지는 ‘청년 비대위’는 통합당 비대위에 청년 비대위원을 참여시켜 청년들의 의견을 당 의사 결정에 반영하겠다는 구상이다.

‘청년 비대위’를 구성하는 전직 세 청년정당 대표는 이번 총선에서 크게 활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재섭 씨의 경우 인재근 의원이 버티고 있는 서울 도봉갑에 출마했으며, 조성은 씨는 선대위에서 활동했고, 천하람 변호사의 경우 패기 있게 통합당의 사지인 호남 지역에 출마하기도 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인해 목소리에 크게 힘이 실리고 있는 상태다.

올해 35세의 이준석 비대위원장 카드도 통합당에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시나리오다. 20일 의원총회에서도 공개 거론됐다. 외부 인사보다는 내부 인사를 등용하되, 젊고 혁신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사람을 등용하려면 이준석 전 최고위원만큼 좋은 인사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김태흠 통합당 의원은 이날 의총에서 “외부 인사를 들여 당을 맡기는 것은 주체성이 없는 것”이라고 했고, 박성중 의원도 “‘자체 역량을 가지고 정상적으로 가자’는 분위기가 더 강하다”라고 발언한 바 있다.

이 전 최고위원은 현재 비대위원장 하마평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은 없지만, ‘사전투표 조작’ 의혹과 관련해 공개 토론회를 주최하면서 판을 키워 여론의 주의를 다시금 환기시키고 있는 상태다.

정당법 개정해서 30대 당협위원장 등에겐 재정지원 필요

다만 그토록 정치권이 부르짖는 ‘830세대 정치’가 소위 현실성이 없는 ‘신선놀음’에 가깝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일체의 직업 활동을 하지 않고 정치에 30대가 전념하려면 소위 ‘금수저’가 아니면 힘들다는 지적이다. 보통 청년들과의 삶과도 괴리됐다는 말도 나온다.

이번 총선에서 경기 남양주을 지역구에 출마했다 낙선한 김용식 전 후보는 21일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이에 대해 “청년 정치를 어렵게 만드는 것은 돈 문제가 크다. 정당법을 바꿔서 30대 청년 정치인들은 어느 정도의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당협위원장 직을 수행하는 데에도 돈이 많이 드는데, 정당으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성철 공감과논쟁 정책센터 소장 역시 이날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당협위원장들에 대한 정당의 보조금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별로 반대할 당이 없을 테니 정당법 개정을 해야 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