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폴리뉴스 이은주 기자] 전세계적으로 저금리 환경이 조성되면서 보험사의 투자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0%대의 금리로는 기존 보험 계약의 매칭과 신규 수요 확보에 어려움이 많아 신용 리스크 부담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보험업계에서는 규제 완화를 통한 해외 투자 한도 확대와 함께 '외화보험’을 통해 돌파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보험사의 당기순이익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23일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보험사 당기순이익은 5조3367억원으로 전년대비 1조9496억원(26.8%) 감소했다고 집계했다. 무려 2조원의 순익이 증발했다. 보험영업에서 생긴 손실을 자산운용 수익으로 메워야 하는 상황이지만, 코로나19 이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전격 인하하면서 제로금리 시대에 진입하면서 상황은 더욱 녹록치 않아 지고 있다.

보험 업계의 역마진 규모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10여년 전 계약한 고금리의 금리확정형 보험이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저금리 시대가 장기화되면서, 자산운용을 통한 이익률은 현저히 낮아지고 있다. 지난 2015년 1조2000억원이었던 금리 역마진은 2018년 5조 7000억원으로 불어났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급속히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서 보험사의 투자수익률은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저금리는 전세계적인 환경이다. 다만 대체 투자의 시장이 크지 않은 자산 운용사, 투자자의 경우 더 큰 어려움에 보험사들의 경우 더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는 것을 이용한 보험상품을 통해 수익성을 돌파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김고은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자국 내 채권 시장 규모가 크고 거래가 활발한 미국, 유럽 등 서구권 국가와 달리 간접 금융시장 위주로 발전한 아시아 국가의 경우 대안이 제한적이다. 해외 투자 확대의 단점은 외환 리스크인데, 외화 조달을 통해 외환 투자를 해 리스크를 일부 헤지할 수 있는 외환 보험 판매가 활성화되는 수순을 밟아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를 위해선 해외투자 비중 한도 확대와 환노출 일부 허용, 외환충당금 제도 시행 등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

보험사의 투자 수익률을 개선하기 위해 해외 투자 확대를 위한 규제 완화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비교적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신흥국 시장에 투자를 통해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현행 보험법은 보험사 일반계정과 특별계정의 자산 운용 중 해외자산 비중을 각각 30%와 20%로 제한하고 있다. 한화생명(29.3%)과 푸본현대생명(26.2%), 처브라이프생명(24.9%), 교보생명(22.7%), 동양생명(22.4%), 농협생명(21.4%) 등은 이미 일반계정의 운용자산 대비 외화유가증권의 비율이 20%를 상회하며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그러나 보험사의 해외투자 한도를 50%까지 풀어줘야 한다는 내용의 보험업법 개정안은 지난 3월 담당 상임위원회인 정무위원회를 통과했지만, 법안을 심의하는 법제사법위원회가 열리지 못하면서 본회의에 상정되지 못했다. 다음 달 20대 국회의 마지막 임시국회가 열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보험업법 개정안이 상정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험사의 안전성은 물론 중요하지만 초유의 상황에서 보험사의 수익성이 지나치게 낮아진 만큼, 해외 투자에 대한 한도 확대와 자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중 보험사에만 여전히 해외 투자 한도가 적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