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디지털 경제, 피할 수 없어
조주현 단장, “스마트공장 지원해 국내 제조업 혁신역량 강화”
정세균 총리, “디지털 경제 인프라 구축해 일자리 창출해야”

5G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 <사진=연합뉴스>
▲ 5G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필수 기자] 정부가 디지털 경제의 마중물로 스마트공장을 선택한 가운데, 공장의 성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정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진행한 취임 3주년 기념 특별연설에서 “디지털 경제는 피할 수 없는 추세다. 이번 코로나 사태가 아니었어도 가게 되어 있는 우리의 미래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 사태를 거치면서 여러 비대면 거래들, 또는 재택근무들을 활성화하면서 디지털 경제는 더욱 속도를 내게 됐다”며 디지털 경제에 대한 인식을 나타냈다.

이어 21일에는 ‘위기극복을 위한 주요 산업계 간담회’에 참석해 “코로나로 가속화된 디지털 경제시대는 더 과감하고 빠른 변화를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과 미래차, 드론, 지능형로봇, 스마트 선박, 바이오의학 등 신산업 전문인력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기업과 정부, 국민이 모두 합심하면 코로나로 유발된 산업위기를 극복하고 디지털 경제시대의 강자로 거듭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스마트공장 보급에 나섰다.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은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대·중소 상생형 구축 ▲스마트공장 수준확인 ▲스마트화 역량강화 ▲스마트 마이스터 운영 등으로 나뉜다.

중기부는 “스마트공장은 ICT, 설비 및 자동화 솔루션이 융합되어 시장과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을 적시에 생산‧납품할 수 있도록 실시간 의사결정과 운영체계가 최적화된 지능형 공장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스마트공장은 생산공정의 자동화, 고도화를 통한 혁신성장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방역 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보급에 나섰다. 구체적으로 지난 12일 중기부는 최근 해외 수주가 급증하고 있어 단기간에 생산성 향상과 생산설비의 신속한 구축이 필요한 진단키트 업체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주현 중소기업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 단장은 “진단키트 생산업체에 대한 스마트공장 지원 이후에도 AI·클라우드 등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지원을 더욱 강화해 국내 제조업의 혁신역량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디지털 경제 정책의 목적은 ‘생산성 향상’과 ‘일자리 창출’로 축약할 수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1일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개최한 4차 목요대화에서 “디지털 경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신성장 산업을 육성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2차관은 22일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ICT산업 미래전략포럼’에 참석해 “정부도 디지털 뉴딜을 추진해 산업적 성과와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중기부는 지난해 5월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성과분석’ 결과 발표를 통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은 평균적으로 생산성 30% 증가, 품질 43.5% 향상, 원가 15.9% 감소, 납기 준수율 15.5% 증가하는 등 경쟁력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또한 “매출이 7.7% 증가하면서 고용도 평균 3명이 증가하였고, 산업재해는 18.3% 감소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는 스마트공장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병헌 중소기업연구원장은 “B2B 분야 제조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변화하는 글로벌 공급체인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그동안 개별공장 단위로 추진해온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을 공급체인 단위로 연계해 중소기업과 대기업 그리고 이종업종 간 협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창출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산업연구원의 지민웅 연구위원과 박양신 부연구위원은 지난달 발간한 ‘i-KIET 산업경제이슈’를 통해 “관련 정부시책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공장 사업으로) 구축된 스마트제조 시스템은 기존의 생산 비효율성을 비약적으로 개선하고 매출 및 고용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스마트제조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시스템에 투자하도록 자극할 수 있는 정책방안이 지속적으로 모색되고 연계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창간20주년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