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윤청신 기자]

6월 6일 현충일을 맞아 네티즌들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현충일은 나라를 위하여 싸우다 숨진 장병과 순국선열들의 충성을 기리기 위하여 정한 날로 매년 6월 6일이며,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현충일은 조국 광복과 국토 방위를 위해 싸우다 돌아가신 순국 선열과 전몰 장병들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정한 기념일이다.

우리 나라는 1948년 8월에 정부를 수립한 뒤, 2년도 못 되어 6 · 25 전쟁을 겪었다. 이 때 25만 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하였다. 이에 정부는 1956년에 대통령령으로 6월 6일을 현충일로 정하고, 추모 행사를 갖도록 했다.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행사를 하며 조기 게양을 한다.

국가가 존재하는 데에는 상당한 전란을 거치게 되어 있고, 모든 국가는 그 전란에서 희생된 자를 추모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48년 8월 정부수립 후 2년도 채 못 되어 한국전쟁을 맞았고 이에 40만 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하였으며 백만 명에 달하는 일반 시민이 사망하거나 피해를 입었다.

1953년 휴전이 성립된 뒤 3년이 지나 어느 정도 자리가 안정을 찾아가자 정부는 1956년 4월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을 개정해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가지도록 하였는바, 현충기념일은 통상적으로 현충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현충일로 공식적으로 개칭됐다.

행사는 국가보훈처가 주관이 되어 행하는바 서울에서는 국립묘지에서 시행되고 있다. 추모대상범위는 한국전쟁에 전사한 국군만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목숨을 바친 모든 선열의 넋을 기리고 있다.

현충일의 제정 이후 이전의 산발적으로 열리던 추모 행사는 국방부 소관으로 시행되었고, 1988년부터는 개별적으로 실시되었던 추념식과 참배행사 모두를 현충원에서 거행하게 되었다.

각종 추모 기념식과 함께 대통령 이하 정부요인들, 그리고 국민들이 국립현충원에서 참배한다. 이밖에 오전 10시 정각에 울리는 사이렌 소리와 함께 전국민은 1분간 경건히 묵념을 하며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나라를 위해 싸우다 숨진 국군장병 및 순국선열들을 추모하는 시간을 갖는다. 각 관공서를 비롯하여 각 기업, 단체, 가정 등에서 조기를 게양한다.

제65회 현충일 추념식이 열리는 6일 오전 10시부터 1분 동안 전국에서 묵념 사이렌이 울린다.

행정안전부는 제65회 현충일을 맞아 조국수호를 위해 헌신`희생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명복을 기원하는 추념식에 맞춰, 6월 6일 오전 10시부터 1분 간 전국적으로 경보사이렌을 울린다고 밝혔다.

현충일 추념식은 당초 동작구 서울현충원에서 개최하려 했으나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수도권 방역이 한층 강화된 상황을 고려해 장소를 대전현충원으로 변경했다. 추념식 표어는 지난해와 동일한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당신을 기억합니다’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해 추념사를 한다.

한편 올해는 현충일이 휴일인 토요일과 겹쳤지만 대체공휴일은 없다. 정부의 대체공휴일제에 따르면 설날·추석 연휴, 어린이날 이외의 공휴일은 휴일이 겹쳐도 대체공휴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사진 연합뉴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