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16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를 찾아 현장시찰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과 서호 통일부 차관,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현장시찰에 불참했다.  <사진=연합뉴스>
▲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16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를 찾아 현장시찰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과 서호 통일부 차관,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현장시찰에 불참했다.  <사진=연합뉴스>

고위공무원들이 참여하는 범정부 차원의 탈북민 지원 협의체가 문재인 정부 들어 열리지 않고,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의당 이태규 의원(재선)이 통일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개년 ‘북한이탈주민대책협의회 개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7년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열린 6차례 회의 중 3차례는 참석 대상인 고위공무원 대신 정책결정권이 없는 실무자들이 ‘대타’로 참석했다. 나머지 3차례 회의 역시 서면으로 대체돼 협의회가 유명무실하게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대책협의회는 통일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20개 부처 고위공무원단 또는 그에 상당하는 사람이 위원을 맡는다. 협의회가 2018년 4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을 심의한 전체회의의 경우 9개 부처 및 2개 지방자치단체 과장 및 사무관이 대리 참석했다. 규정상 20개 부처와 3개 지자체(서울·경기·인천) 소속 실·국장급 위원이 참석해야 하지만 고위공무원 과반이 참석하지 않은 것이다. 이듬해 시행계획을 논의한 2019년 1월 역시 7개 부처에서 대리참석자를 보냈다.

탈북민 모자 ‘아사 사건’으로 국민적 공분이 일었던 직후인 2019년 9월 회의는 기획재정부를 제외한 다른 부처 고위공무원이 모두 참석해 그나마 정상적으로 열렸다. 탈북민 지원을 위한 근본적 정책 마련엔 무심하다 여론을 의식해 사후대책 수립에 나선 것이다. 

평양 남북정상회담으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조성됐던 2018년부턴 회의가 서면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1월 첫 회의 이후 2019년, 2020년 각각 11월과 2월 한 차례씩 열린 회의 역시 서면이었다. 

탈북민들은 속속 해외로 떠나고 있다. 통일부에 따르면 제3국 망명 및 재입북, 이민 탈북민은 2017년 총 9명이었다가 2018년 22명으로 늘어났다. 지난해의 경우 15명이 이 같은 사유로 한국을 떠났다. 

이태규 의원은 “현 정권은 북한이탈주민 정책에 무관심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며 “정부는 탈북민 대책이 목숨걸고 자유를 선택한 탈북민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국가 정책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