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내에서 '추미애 피로감'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지난 12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에서 추미애 법무장관이 국민의힘 의원들과 공방을 벌이자 같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정성호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은 “추 장관은 다른 것은 말씀하지 말고, 질문을 듣고 답변해달라”며 “정도껏 하라”고 제지했다. 그러자 정 위원장에게 여권 지지자들의 비판세례가 쏟아졌다.
과거 민주당 대표를 지내기도 했던 추 장관에게 이례적인 공개적 비판을 한 직후 여권 지지자들의 거센 비판을 받은 정 위원장은 SNS를 통해 “민생 예산이 어떻게 논의됐었는지는 아무도 관심 없고 모른다”라며 “상식과 합리가 통하는 세상이 돼야 한다”며 “본질은 사라지고 껍데기만 남은 느낌이다. 딱 한 마디 했더니 하루종일 피곤하다”며 추 장관과 야당 의원들 간의 반복되는 정쟁에 피로감을 나타낸 바 있다.
이에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14일 페이스북을 통해 “한마디 말씀으로 온종일 피곤하셨다니 민망하고 송구하다. 우리는 함께 하기로 한 민주당 동지”라며 “오해가 있을 수는 있으나, 개혁을 염원하는 간절함으로 인한 것이라 여기고 너그러이 받아달라”고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말했다.
추 장관은 “예산 감시활동을 조명받지 못하고 잡음만 조명이 되어 유감이라는 데 대해서도 충분히 공감하고 저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그런데 국회활동을 경험하고 국무위원으로서 자리가 바뀐 입장에서 볼 때 우리 국회가 시정해야 할 문제도 부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사청문회가 국무위원으로서의 자질과 정책역량을 검증하기보다 인신공격과 망신 주기 때문에 자질을 갖춘 분마저도 쉽사리 국무위원 후보 되는 것부터 망설이는 것이다”라며 “마찬가지로 공개된 회의에서의 질의나 토론도 상당한 문제가 있다. 장관에게 고성으로 반복된 질문을 퍼부으며 답변기회를 주지 않고 윽박지르고 모욕을 주는 것을 바꾸지 않으면 심한 자괴감도 들고, 지켜보는 국민 입장에서도 불편함과 정치혐오를 가지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특활비 몇십억을 감독기관에 사후 보고조차 없이 쌈짓돈으로 쓸 수 있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 이미 국민이 용납하지 않는다. 법사위원들이 대검에 가서 문서검증을 했지만 자료를 제대로 확인조차 못 한 채 돌아섰다”며 “아무리 검찰총장과 대검을 감싸주고 싶은 야당이라 한들 지나치다. 대검 눈에 박힌 대들보는 놔두고 법무부 눈엣가시를 찾겠다고 혈안이 되어있다. 물론 법무부도 잘못이 있으면 지적을 받아야하고 시정해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추 장관은 “뭉칫돈을 가져다 쓰는 대검에 가서 제대로 된 확인과 점검에 대한 질의 대신 아무런 근거도 없이 법무부 국장이 오십만원씩 나눠 가졌다는데 밝히라고 담당국장을 세워놓고 11번이나 추궁하고 아니라고 하는데도 언론에 의혹 제보라며 알렸다”며 “언론은 받아쓰기하고 다시 이를 국회 예결위 회의장에 가지고 와 장관을 상대로 반복질의를 하면서 국장은 시인했는데 장관은 부인하니 장관이 위증한다고 단정 짓고 거듭 다그친다”고 지적했다.
덧붙여서 “추가 질의 시에는 법사위 속기록을 적당히 발췌하여 시인했다고 우기기까지 한다”며 “모욕적이고 도발적인 질문인지 아닌지는 처한 입장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근거 없이 그저 ”썼어요? 안 썼어요?“ 하면서 범죄인 다루듯 추궁하는 반복질의가 바람직한 예산심사였는지 아니면 그저 장관에 대한 공격이고 정쟁이었는지는 판단에 맡기겠다”면서 “정작 짚어야 할 대검 특활비 문제는 물타기가 되어 덮어져 버렸다”고 쓴 소리를 했다.
아울러 “그런 식으로 소중한 질의 시간을 허비하고 몸과 마음이 지치는 것은 당하는 국무위원도 마찬가지다. 쏟아지는 자료요구와 서면질의로 인해 국감 시작 전부터 밤새기를 밥 먹듯 해야하는 공무원들에게도 매우 미안한 일”이라며 “세금도 아닌 직원의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설날 소년원생들에게 준 햄버거를 예산심사 질의 주제로 삼은 것에 대해서는 웃어넘기겠다”고 언급했다.
추 장관은 “조두순 출소를 앞두고 1:1 전자감독을 보강하는 등 태부족한 보호 관찰관의 증원에 늦은 밤까지 관심을 주신 예결위 의원님들과 위원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이런 점이 부각되지 못한 것 또한 아쉽게 생각한다”며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없노라’고 도종환 시인께서 말씀하셨듯 흔들리지 않고 이루어지는 개혁이 어디 있겠습니까”라며 “이 길의 끝에 이르기까지 서로 의심하지 말고 손 놓지 말자고 제가 당대표로서 동지들께 정권 출범 초에 드렸던 말씀”이라고 강조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최근 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최근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쿠팡이 유료 회원이 아니어도 무료 로켓배송을 하겠다며 먼저 경쟁 신호탄을 쏘았습니다. 배송비 면제로 사실상 최저가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이마트는 쿠팡과 롯데마트몰, 홈플러스몰보다 구매 상품이 비싸면 그 차액을 자사 포인트로 적립해준다며 응수했습니다. 롯데마트도 맞불을 놨습니다. 이마트가 최저가를 선언한 생필품 500개 품목을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 포인트도 5배 더 줍니다. 마켓컬리도 과일, 채소 등 60여종의 신선식품을1년 내내 최저가에 판매한다며 전쟁에 참가했습니다. 이에 질새라 편의점까지 가세했습니다. CU와 GS25는 6종의 친환경 채소를 대형 마트보다 싸게 판매합니다. 업계는 이를 통해 마케팅은 물론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유도효과도노리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보상받은 차액 ‘e머니’는 오프라인에서 쓸 수 있고,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 살 깎아먹기식 출혈경쟁은 결국납품업체로 부담이 전가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