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창간 21년을 맞은 폴리뉴스가 국회중심 뉴스룸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매일 아침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여러분들께 깊이 있는 뉴스로 인사드리겠습니다.
모바일 앱은 Play스토어에서 폴리뉴스를 검색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응원 부탁드립니다.
1. [이슈] 4.7 보선 앞두고 불거진 'MB 정권 국정원 불법사찰' 의혹 뇌관되나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122
2. [4.7 보선] 박형준 ‘MB 불법사찰’ 의혹에 요동치는 부산시장 보궐선거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096
3. [NBS] 與‘이재명36%-이낙연15%’, 野‘윤석열12%-홍준표11%-안철수11%’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086
4. [4.7 보선] 박민식·이언주 단일화 합의…부산에도 부는 단일화 바람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117
5. [4.7 보선] 김태년 "또 부산가야겠네" 한숨, 가덕도법 수정 때문?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092
6. 김종민 “민주당 추진 ‘검찰개혁 시즌2’에 신현수 뿐아니라 靑도 이견”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073
7. 靑 임서정 일자리수석 “고용사정, 1월 저점으로 해 더 나빠지지 않을 것”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076
8. 심상정 의원 “토건 역주행, 양당 신공항특별법 멈춰야”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078
9. 최정우 포스코 회장 “허리 아파 청문회 못 나가”··· 국회에 불출석 통보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144
10. [제약바이오업계] CEO 대거 교체하나?...내달 임기만료 '주요 제약사'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087
11. K스타트업 연이은 엑시트…날개 달려면 “해외시장 노출 늘리고 국내 M&A 활성화해야”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090
12. [특징주] AP위성, 일론 머스크의 우주탐사기업 가치 상승으로 급등세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084
13. [카드뉴스] '넷플릭스법' 정리해드립니다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158
폴리뉴스
http://www.polinews.co.kr/
모바일은
http://www.polinews.co.kr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작은 도시국가였던 로마는 ‘도로’를 건설해 대제국이 됐습니다. 지금 인터넷 시대 역시 ‘연결망’이 필요합니다. 망을 토대로 사람과 데이터가 오가며 부가가치가 창출됩니다. 이 망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IT 기업들로 넷플릭스, 구글, 페이스북, 네이버, 카카오, 웨이브 등이 있습니다. 이용자가 워낙 많아 과도한 트래픽을 발생시키므로 이들에 서비스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끔 의무를 부과하게 했습니다. 바로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이 그것입니다. 넷플릭스법이라고 쉽게 부르기도 합니다. 전년도 말 기준 직전 3개월간 국내 하루 평균 이용자 100만 명 이상 하루 평균 트래픽 양이 국내 총량의 1% 이상인 부가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통신서비스 품질 유지 의무를 부과합니다. 넷플릭스법은 지난해 12월 10일 시행돼, 최근 처음으로 적용됐습니다. 구글이 ‘접속 중단’ 사태를 일으킨 것에 대해 과기부가 이 법에 근거해 조치를 요구했고, 구글은 앞으로 한국어로 장애 사실을 고지하기로 하고 ‘국내대리인’을 두어 이용자의 문의를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단 넷플릭스법에 잔존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SK브로드밴드나 KT 등 망사업
넷플릭스법에 대해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