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창간 21년을 맞은 폴리뉴스가 국회중심 뉴스룸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매일 아침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여러분들께 깊이 있는 뉴스로 인사드리겠습니다.
모바일 앱은 Play스토어에서 폴리뉴스를 검색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응원 부탁드립니다.
1. [NBS] 文대통령 지지율 47% 5%p↑, ‘민주당35%-국민의힘20%’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505
2. [폴리-미디어리서치] 기본소득제 ‘찬성52.8% >반대42.6%’, 고연령층 찬성 60%대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498
3. [폴리TV] 폴리-한길리서치 정기 여론조사(2021.02.20.~02.21)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541
4. [유창선 칼럼] 민주당 강경파의 ‘수사청’, 문재인-신현수 패싱인가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448
5. 친이재명계 주도 ‘기본주택’ 법안 발의…“무주택자에 30년 임대”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548
6. 가덕도 인근해상서 文대통령 “신공항 2030년 이전 완공, 국토부가 의지 가져야”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534
7. [NBS] 4.7보선 의미 ‘국정안정43% vs 정권심판40%’, 서울-PK 심판론 더 높아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511
8. 폴리TV [김능구의 정국진단] 염태영 민주당 최고위원(수원시장) “무늬만 특례시?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521
9. [폴리-미디어리서치] 금고이상 범죄 의사 면허취소 ‘찬성76% >반대18.4%’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500
10. [운영위] 유영민 '신현수 사의 파동' 사과...'檢개혁 속도조절' 두고 당청 엇박자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499
11. [단독] 급변하는 우주안보환경에도 ‘법적 근거’ 없는 軍 우주전력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510
12. [인터뷰] 윤주경 의원 “3·1운동 정신 기억하려는 노력 필요··· 서로 인정하는 계기 되길”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487
폴리뉴스
http://www.polinews.co.kr/
모바일은
http://www.polinews.co.kr/mobile/
폴리TV 유튜브는
https://www.youtube.com/user/polinews1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클럽하우스'란 초대받은 사용자끼리 자유롭게 방을 만들어 '음성' 대화를 나눌 수 있는 SNS입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개발자 폴 데이비슨과 로한 세스가 만든 스타트업으로, 코로나19로 비대면 소통이 트렌드가 되면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나 오프라 윈프리 등 유명인사들이 참여하면서 인기가 치솟았고 우리나라에서도 정치, 경제, 문화예술계 등 '인플루언서'들이 합세하고 있습니다. <가디언>은 클럽하우스의 현재 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1200억원)에 달한다고 전했습니다. 나온 지 1년도 채 되지 않았고 구체적인 수익 모델도 정해지지 않았는데도 말입니다. 클럽하우스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아무나 들어갈 수 없다는 데 있습니다. 기존 이용자로부터 초대장을 받아야 하며, 초대는 한 사람당 2명만 가능합니다. 이러한 '폐쇄성' 때문에 '나도 끼고 싶다'는 욕구를 불러일으키지만, 동시에 그곳에 속하지 못한 사람들을 소통창에서 배제하는 속성을 갖고 있습니다. 방 안에서는 위계적 소통이 이뤄집니다. 발언권이 있는 사람만 말할 수 있고, 방 관리자가 말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즉 현실에서의 권력구조가 연장되는 구조입니다
국회 통과를 앞둔 전금법 개정안을 둘러싸고, 한은과 금융위가 충돌하고 있는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