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창간 21년을 맞은 폴리뉴스가 국회중심 뉴스룸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매일 아침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여러분들께 깊이 있는 뉴스로 인사드리겠습니다.
모바일 앱은 Play스토어에서 폴리뉴스를 검색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응원 부탁드립니다.
1. [김능구의 정국진단] 이재명 경기도지사 ①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지속 성장위해 기본소득 도입해야”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673
2. [폴리 2월 좌담회①] 신현수 파동, ‘4.7 선거용 미봉책’... ‘검찰개혁 시즌2’ 강공드라이브 예고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508
3. [폴리 2월 좌담회②] “서울시장 보선, 안철수 야권후보되면 '연립정부' 위한 용광로 캠프가 본선 승부처”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675
4. [KSOI] 文대통령 지지율 43.4% 2%p↑, ‘민주34.2%-국힘23.9%’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659
5. [리얼미터] 차기 ‘이재명23.6%-이낙연·윤석열15.5%-안철수7%-홍준표6.6%’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650
6. [리얼미터] ‘민주32.9%-국힘30.7%’, 서울‘31.3%-29.5%’ PK‘27.6%-39%’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648
7. [이슈] 4.7보선 서울 ‘野우위→與野 접전’, 부산은 野우위 유지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662
8. [공매도 특집④] 공매도와 국회의원 그리고 정치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644
9. [4월 금융포럼④]스타트업 키우는 은행권 260조 기술금융, 어디까지 왔나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406
10. [폴리경제인터뷰] 김원봉 외조카 김태영 박사 “독립운동사 흑백논리로 봐선 안 돼”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656
11. [카드뉴스]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괜찮은걸까?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658
12. [카드뉴스] 유통업계 '친환경' 열풍, 어디까지 왔나?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484640
폴리뉴스
http://www.polinews.co.kr/
모바일은
http://www.polinews.co.kr/mobile/
폴리TV 유튜브는
https://www.youtube.com/user/polinews1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괜찮은걸까? 26일, 국내 백신 접종이 시작됐습니다. 두통, 발열 등 후유증 신고 사례도 나오고 있어서 걱정이 많은데요. 전문가들은 경증 반응의 경우 대부분 3일이면 괜찮아진다고 합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따르면 진통제 처방 등이 필요한 심각한 경우는 4% 정도라고 해요. 화이자의 경우 임상시험 대상자 약 2만명 중 안면 마비, 사망 등의 심각한 사례는 각각 4명 2명이었죠. 사망자들도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던 환자였어요. 경증 증세는 독감 등 다른 백신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가장 주의해야 할 후유증은 ‘아낙플락시스’ 반응입니다. 접종 후 10~30분 이내에 나타나는데, 숨이 차거나 협압이 떨어지고, 심한 경우 의식을 잃게 됩니다. 이 경우 현장에서 즉시 치료한다면, 회복이 가능해요 하지만 방치하게 된다면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으니 특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접종 후 적어도 15분은 현장에 대기해야 하는 이유도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백신 항체는 체내 흡수 시 쉽게 깨지는데, ‘PEG’라는 성분이 보호를 해 줍니다. 그.런.데, 이 성분이 아낙플락시스를 유발하게 되죠 PEG는 치약,
[폴리뉴스 강필수 기자] 노후경유차 조기폐차를 지원하기 위해 환경부가 나섰습니다. 환경부는 지난 5일부터 올해 배출가스 5등급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사업을 확대 개편했습니다.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사업은 초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인 노후경유차 자체를 근본적으로 줄여나가는 사업입니다. 올해의 경우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물량은 지난해 30만대에서 34만대로 늘어났습니다. 올해 조기폐차 지원사업은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등 노후경유차 운행제한으로 인한 이동권 제한을 보상해 주는 차원으로 진행됩니다. 매연저감 조치가 힘든 노후 경유차량 등에 대한 1대당 보조금 상한액은 3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상향됐습니다. 총중량 3.5톤 미만인 배출가스 5등급 노후 경유차량 중 매연저감장치를 장착할 수 없는 차량이나 생계형, 영업용, 소상공인 등이 소유한 차량이 많은 것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환경부는 노후경유차 소유자 대부분이 저소득층으로 폐차 후 중고차 구매를 선호하는 점도 고려했습니다. 전체 보조금 상한액의 30%, 최대 180만 원을 배출가스 1, 2등급에 해당하는 중고 자동차(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차, 휘발유차, LPG 등) 구매 시에도 지급합니다. 전국